[단독] 文정부표 신재생에너지 ‘툭하면 고장’…5년간 226번 멈춰

홍혜진 기자(honghong@mk.co.kr) 2023. 10. 31. 18: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발전5社 신재생에너지 시설
월평균 4번꼴로 고장난 셈
해상풍력·태양광 몰린 제주
전력 출력제어 조치 빈번
에너지 저장장치 투자 시급
태양광 발전소 [사진=연합뉴스]
한국전력 산하 발전 5사의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발전시설이 지난 5년간 226번이나 멈춰선 것으로 나타났다. 매달 네 번 꼴로 고장이 난 셈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앞으로 10년간 3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잦은 고장과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이 전력 생산 변동성을 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31일 매일경제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양금희 국민의힘 의원을 통해 입수한 한전 산하 발전 5사(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약 5년간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동안 226건의 비계획정지가 발생했다.

비계획정지란 계획에 없이 설비가 정지되는 사태를 말한다. 대부분 고장으로 인한 것이라 사실상 고장 건수로 통용된다. 226건의 비계획정지로 인한 손실액은 총 26억1068만원으로 집계됐다. 매년 40여건 고장이 나면서 5억원 이상 손실이 발생한 셈이다.

전체 전력 생산중 신재생발전을 통해 조달되는 부분은 10% 남짓으로 아직 초기 단계다. 생산 규모 자체가 기저발전보다 훨씬 적은 만큼 발전시설 고장으로 인한 손실규모 자체가 크지는 않다. 하지만 발전량에 비춰보면 고장이 잦은 편인데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향후 10여년간 3배 이상 늘어날 예정인 점을 고려하면 비계획정지 빈발 문제를 서둘러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신재생에너지는 주요 전원으로 자리매김하는 수순”이라며 “앞으로 발전량이 늘어나면서 비계획정지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전력망의 안정적 운용을 어렵게 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에 대비해 전력당국이 전력망 안정화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 로드맵인 10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르면 올해 약 10%인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13년 뒤인 2036년에는 세 배인 30.6%에 이를 전망이다.

지난 5년간 발생한 비계획정지 손실액 상위 사례를 보면 가장 손실금액이 큰 것은 지난 2021년 2월 발생한 남동발전 영흥풍력 2단지 풍력기 변압기 불량 건으로 전력 손실량이 2764MWh, 손실금액이 4억6258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3월에도 중부발전의 보령 태양광발전시설 외부 계통 문제로 비계획정지가 발생하면서 7193만원 피해가 생긴 일이 있었다.

탈탄소 기조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에 발맞춰 신재생발전 설비 결함을 보완하는 한편 사업자들의 큰 불만인 출력제어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제주와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는 출력제어는 전력이 과잉 생산될 경우 한국전력이 송전망을 차단해 발전사가 전력생산을 중단하게 하는 조치다.

변동성이 큰 풍력과 태양광 발전에서 전력이 과잉 생산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정전을 예방하기 위한 것인데 제주에서는 신재생 발전량이 넘쳐나면서 출력제어가 빈발하고 있다. 사업자들은 출력제어가 금전적 손실을 유발할 뿐 아니라 인버터 등 태양광 등 설비에 무리를 준다고 호소한다.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해상풍력, 태양광 발전시설이 몰려있는 제주도 출력 제어 건수는 올해 8월까지 이미 141건을 넘어섰다. 제주 출력제어 상황을 연도별로 보면 2018년 15회에서 지난해 104회로 빠르게 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변동성과 이로 인한 출력제어에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과잉 발전 지역 신규 사업자들에 대한 진입장벽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에너지 저장정치(ESS) 기술발전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ESS 성능이 좋아지면 더 많은 잉여 전력을 보관할 수 있어 자연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큰 신재생 발전을 통해서도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출력제한을 하는 이유도 결국 에너지를 저장하는 ESS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ESS기술은 우리가 뒤쳐진 것도 아니라서 지금부터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면 세계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