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나주 소고기 통조림 공장…지구촌 작가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

성수영 2023. 10. 31. 18: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라도란 명칭이 역사에 처음 등장한 해는 1018년이다.

한때 호남을 대표했던 나주의 매력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다.

그렇게 해서 찾은 장소가 나주 동점문 근처에 있는 폐공장이자 근대유산 산업시설인 옛 화남산업이다.

나주곰탕이 유명해진 것도 이 공장 덕분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
화남산업 폐공장 등 나주 곳곳에
세계서 온 작가 15명 작품 전시

전라도란 명칭이 역사에 처음 등장한 해는 1018년이다. 당시 행정구역을 개편한 고려가 호남지역 대표 도시였던 전주와 나주를 합쳐 이렇게 불렀다. 1000년이 흐른 지금, 전주와 나주의 위상은 추락했고, ‘호남 대표도시’ 타이틀도 광주에 넘겨줬다.

나주시가 올해부터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를 매년 열기로 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때 호남을 대표했던 나주의 매력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다. 올해는 원도심 반경 3㎞ 안에 있는 10개 공공장소 앞에 한국·일본·베트남·독일 작가 등 15명의 작품 16점을 배치했다. 설치미술과 함께 지역 문화·역사 유산도 즐길 수 있도록 꾸몄다. 백종옥 전시감독은 “전국 각지에서 미술제가 열리고 있지만 일부러 찾아가서 볼 만한 미술제는 많지 않다”며 “영산강미술제는 이런 지역축제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많은 걸 고민했다”고 말했다.

그렇게 해서 찾은 장소가 나주 동점문 근처에 있는 폐공장이자 근대유산 산업시설인 옛 화남산업이다. 일본인이 설립한 이 통조림 공장은 일제강점기 소고기 통조림을 대량으로 생산했다. 매일 소 300마리가 도축돼 통조림으로 만들어져 병사들에게 보급됐다. 나주곰탕이 유명해진 것도 이 공장 덕분이다. 공장은 통조림을 만들고 남은 소의 부속을 조선 상인들에게 헐값에 넘겼고, 이걸 끓인 게 지금의 나주곰탕이 됐다.

이번 미술제에서 폐공장(사진)은 작가 3인의 전시공간으로 변신했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건 베트남 작가 하이뚜가 그린 벽화다. 화면 중심에는 눈물을 흘리는 듯한 소의 도상과 함께 소나무, 달, 구름 등 도가적인 소재들이 그려져 있다. 인간들의 전쟁으로 인해 희생된 소들을 애도하는 그림이다. 중견 설치작가 민성홍의 ‘Drift_비정형’, 미디어아티스트 이이남의 ‘책 읽어주는 소녀’는 전투식량을 만들던 공간에서 평화와 문화를 꿈꾼다는 의미가 담긴 작품이다. 강용면이 금성관 앞뜰에 밥과 밥그릇을 모티브로 설치한 작품 ‘온고지신’도 눈에 띄는 작품이다. 금성관은 조선시대 나주목의 손님이 묵는 곳으로, 오늘날로 치면 영빈관에 해당하는 장소였다.

백 감독은 “영빈관에서 손님에게 밥을 내드리듯 나주와 영산강국제설치미술제에 온 귀한 손님들을 환영하고 잘 대접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배치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전시는 11월 30일까지 열린다.

나주=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