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포된 성범죄 영상, 지워도 되살아났다…나는 지옥을 살았다

채윤태 2023. 10. 31. 16: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디지털 성범죄 '생존자' ㄱ씨가 한국트라우마연구교육원이 진행한 심층면접에서 밝힌 심경이다.

ㄱ씨를 비롯해 심층면접에 참여한 디지털 성범죄 생존자 8명은 불법촬영물이 유포됐다는 걸 처음 인식한 순간부터 '생지옥'이 펼쳐졌다고 입을 모았다.

보고서는 불법촬영물 유포에서 끝나지 않고, 추가적 유포에 대한 불안 피해까지 따르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특수성을 반영한 심리지원 개입을 비롯해 △법률과 제도 개선 △수사방식의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텔레그램에 퍼지는 성착취]

게티이미지뱅크
“그 영상(불법촬영물)을 딱 접하자마자 ‘나는 이제 끝났구나. 이제 내 인생은 끝났구나. 이제 나는 어떻게 살지’라는 생각을 했어요. 결혼은 고사하고 제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은커녕, 사회 생활 자체를 못하고, 밖에 나돌아다니지도 못하겠구나…”

디지털 성범죄 ‘생존자’ ㄱ씨가 한국트라우마연구교육원이 진행한 심층면접에서 밝힌 심경이다. ㄱ씨를 비롯해 심층면접에 참여한 디지털 성범죄 생존자 8명은 불법촬영물이 유포됐다는 걸 처음 인식한 순간부터 ‘생지옥’이 펼쳐졌다고 입을 모았다. 한번 유포된 불법촬영물은 지워도 지워도 또다시 유포됐고, 생존자들은 협박은 물론 신상정보 유포로 인한 제약 등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한국여성진흥원은 31일 이런 내용이 담긴 ‘디지털 성범죄 유포 및 유포불안 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가 주목한 디지털 성범죄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영속성·지속성이다. 보고서는 한번 유포된 불법 촬영물을 완전히 삭제하기 어렵고 지속적으로 유포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성범죄를 반복적으로 겪게 되는 것과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을 ‘실존적 생지옥’으로 명명하며 “(생존자들이) 유포물만 없어질 수 있다면 영혼도 팔 수 있을 것 같은 마음의 절박함을 느끼며 ‘영원히 지속될 것 같은 고통’을 경험했다”고 분석했다.

생존자들은 심층면접에서 길거리에서도 누군가 나를 알아볼 것만 같아 ‘불특정 다수’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고 고백했다. 생존자ㄴ씨는 ‘○○님 진료실로 들어오세요’라고 이름이 호명되는 까닭에 병원 검진을 받는 것조차 “두렵다”고 말했다. ㄷ씨는 한 언론사의 디지털 성범죄 보도를 보고 충격이 커서 “해리성 기억상실을 경험”했을 정도다. 또다른 생존자 ㄹ씨는 “(누군가 관심을 보이면) ‘저 사람이 정말 나라는 (사람) 자체가 좋아서 호감을 보이는 건지, 그때 그걸(유포된 불법 촬영물) 봤고 아직까지 기억을 하고 있어서 호기심 때문에 나한테 접근을 하는 건지 의심을 하게 된다”고 고민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아예 ‘사회적 단절’을 선택하는 이들도 있었다. 한 생존자는 “사람을 못 믿겠고 대인기피증처럼 사람이랑 대화하는 것도 너무 싫었다”며 “(한동안) 모든 외부 활동, 경제 활동을 다 끊고 그냥 집 안에만 박혀서 살았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불법촬영물 유포에서 끝나지 않고, 추가적 유포에 대한 불안 피해까지 따르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특수성을 반영한 심리지원 개입을 비롯해 △법률과 제도 개선 △수사방식의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여성가족부는 이날 제10차 여성폭력방지위원회를 열어 서울·부산·인천·경기의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삭제지원시스템을 연계해 피해 촬영물을 효율적으로 삭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디지털 성범죄 증거 보존 등을 위한 국제 공조 강화를 위해 ‘부다페스트 협약’ 가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31일 공개한 ‘디지털 성범죄 유포 및 유포불안 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보고서 표지.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