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중국 막으려던 中 세무조사…폭스콘 인도·베트남行 부추기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애플 공급업체인 폭스콘을 겨냥한 중국 당국의 세무조사가 미국 기업들의 '탈(脫)중국' 가속화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비용 커 인도 투자 계획도 철회했지만
"거액 벌금·정치 리스크 휘말리면 탈중국 가속"
애플 공급업체인 폭스콘을 겨냥한 중국 당국의 세무조사가 미국 기업들의 '탈(脫)중국' 가속화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현지시간)"아이폰 공급망의 핵심고리인 폭스콘에 대한 중국의 기습 조사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지만, 중국에 득보다 실이 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2일 중국 규제당국은 광둥성 장수성 허난성 후베이성 등에 위치한 폭스콘 공장에 대한 세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일부 분석가들은 폭스콘이 제조 기지를 인도·베트남 등으로 다각화하는 데 대한 불만을 중국이 표출했다는 해석을 내놨다. 일각에서는 폭스콘 창업자인 궈타이밍의 대만 총통 선거 출마를 저지하려는 분석도 제기됐다. 궈타이밍이 무소속으로 출마할 경우 친중 야당인 국민당의 표를 흡수해 독립 세력인 민주진보당이 재집권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제조기지 유출을 저지하려는 게 중국 당국의 의도일지라도 실제로는 해외 이전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게 WSJ의 분석이다. 기업 경영의 최대 악재인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미·중 공생의 상징과도 같은 기업인 애플마저 공격당하는 모습은 기업들에게 충분한 위험 신호가 될 수 있다.
위협을 느끼는 기업 중에서는 중국을 떠날 의향이 없는 곳들도 적지 않다. 인도·베트남 등 새 제조업 허브로 옮기는 비용이 큰 데다가 성과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다. 최근 인도와 베트남 생산기지를 확대하는 폭스콘의 총자본지출은 2021년과 2022년 모두 1000억대만달러(약 4조원)를 넘어섰다. 이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총자본지출보다 60% 가량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투자 비용 증가는 전세계 전자제조서비스산업 평균 투자자본수익률이 2018년 12%에서 올해 9%로 하락한 배경으로도 거론된다. 지난 7월 폭스콘은 195억달러(약 26조원) 규모의 인도 반도체 공장 투자계획을 철회하기도 했다.
WSJ는 "전자제조업체는 중국에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률이 당분간 큰 타격을 입지 않는 한 이익을 유지하기 위해 너무 빨리 중국을 떠나지 않을 분명한 경제적 유인이 있다"며 "하지만 폭스콘과 그 계열사가 거액의 벌금을 물게 되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정치적 또는 안보적 문제에 휘말리게 되면 중국에서의 이탈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우디·러시아 "연말까지 감산"…브렌트유 90달러 돌파 [오늘의 유가]
- 유가·금리·달러 급등…13일 CPI 발표 분수령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 美 매파도 "매우 좋은 지표…금리 인상 서두를 필요 없어" [Fed워치]
- 7나노 칩 장착한 中 화웨이에 美 비상…"더 촘촘한 규제 나올 것"
- '메시 효과' 시즌패스 하루 11만장 팔렸다…의외의 수혜주는?
- 박정수 압구정 5층 건물 세운 이유…"연인 정을영 PD 일하라고"
- "전청조 모친 추정 인물이 스토킹"…남현희, 직접 112 신고
- "미용에 30억 투자"…엄정화 아니었다, 사칭 경고
- "마약한 적 없다"는 지드래곤, 팬 댓글에 '좋아요' 화답
- "GS25 이 요거트 당장 반품하세요"…'대장균군 부적합' 판매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