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칼럼]기업에 정치적 입장을 물어보는 사회

여론독자부 2023. 10. 31.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캐서린 람펠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경영과 무관 사회 이슈에 의견 요구
소비자·직원 압박에 기업 셈법 고민
형식적 연대 표시, 주주 우려만 키워
결국 기업반감 최소화 급급 불보듯
사진 설명
[서울경제]

요즘 대기업과 대중을 상대하는 민간 업체의 고용주들은 원자재 구입처와 직원 채용 기준 등 회사 경영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사안뿐만 아니라 양극화된 문화와 정치적 이슈에 대해서도 분명한 입장 표명을 요구받는다. 여기에는 최근 중동에서 발생한 전쟁도 포함된다. 왜 이런 요구가 나오는지 이해가 가는 부분도 더러 있다. 그러나 기업들이 까다로운 쟁점에 대해 일관된 견해를 유지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보이콧이나 주주들의 반란 등을 통해 기업의 태도를 바꾸려는 시도는 새로운 게 아니다. 하지만 기업들이 전문 분야나 그들의 영향권을 벗어난 사안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들과 종업원들의 분노를 사는 분위기가 10~20년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빠르게 자리 잡아가고 있다.

MZ세대가 노동인구에 합류하면서 직장인들 사이에도 상당한 세대 변화와 연령 변화가 일어났다. 이들은 학창 시절 캠퍼스 운영자들이 학생들의 다양한 이념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거나 비난해줄 것으로 기대했다. 얼마 가지 않아 MZ세대에 속한 학생들은 학교 당국으로부터 그들의 견해에 대한 단순한 지지가 아닌 완전한 인정을 받으려 들었다. 필자는 학생 운동가들이 대학이라는 고치에서 나와 현실 세계로 들어섰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지 궁금했다. 현실 세계의 보스들은 자신들의 견해를 완전히 인정하고 확인해달라는 종업원들의 요구를 참아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이유에서건 낙태권 등 분열적 쟁점에 끼어드는 것을 한사코 피했던 기업들은 이제 더 이상 그럴 수 없게 됐다. 소비자들은 ‘외집단’에 대한 비난 혹은 ‘내집단’에 대한 기업주의 연대 성명을 요구한다. 더 중요한 사실은 근로자들 역시 같은 것을 요구한다는 점이다. 많은 근로자는 기업의 사내 정책과 공개적인 입장이 자신들의 근로조건에 영향을 준다는 합리적인 주장을 펼친다. 예를 들어 낙태 시술을 금지한 지역에서 여성 직원의 이탈을 막으려는 고용주는 그들의 건강을 지켜줄 방법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필자는 기업의 행동을 압박하는 운동가들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 운동가들과 견해를 달리할 때도 필자는 기업을 상대로 한 행동은 근로자들과 소비자들의 합법적 권리에 속한다고 믿는다.

기업들은 그들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입장을 선택함으로써 근로자와 소비자의 집단행동에 반응한다. 그들은 도덕적 원칙 없이 단지 가장 크고, 가치 있는 고객층과 동일한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회사 운영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복잡하고 분열적인 이슈에 의견을 내놓으라는 압박이 커지면서 가장 유리한 입장을 찾아내려는 기업의 셈법 자체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한 주주 집단의 압박에 반응하다 보면 다른 주주 그룹이 반발한다.

정치적으로 복잡하게 얽힌 이스라엘과 가자 사태는 이 같은 압박 캠페인의 결정판처럼 보인다. 먼저 기업들과 대학 및 기타 기관들은 하마스의 이스라엘 민간인 학살을 격렬하게 비난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았다. 해외에서 발생한 잔혹 행위와 관련해 기업의 중역들이 도덕적 지도력을 보이거나 위안의 말을 해야 할 입장에 처한 적은 없었다. 그러나 이제 기업들은 경찰 폭력에서 현대판 유대인 학살에 이르기까지 모든 쟁점에 대한 견해를 밝혀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비도덕적이거나 반인륜적인 사건에 침묵 또는 동조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기업들은 입을 열었다. 그러자 팔레스타인이 겪는 고통에 동정적인 직원들이 같은 논리를 동원해 회사의 입장을 반박했다. 구글과 아마존을 비롯한 대기업 근로자들은 고용주 측이 가자 주민들과의 연대를 밝힐 것을 요구했다. 아예 이스라엘을 향해 휴전 혹은 다른 구체적인 조치를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사내 운동권에 속한 근로자들은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한 후 침묵을 지키는 경영주는 이스라엘인의 생명이 팔레스타인인의 생명보다 가치가 있다고 말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잠시 생각해보자. 기업의 형식적인 연대감 표현이 전쟁에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아니다. 이 같은 입장 발표가 많은 주주들의 분노를 자아내지 않을까. 틀림없이 그럴 것이다. 특히 상황의 발전에 따라 기업 지도자들이 앞서 밝힌 입장을 번복해야 하는 처지로 몰리면 주주들의 우려는 가중될 것이다.

무엇을 하건 기업들은 필연적으로 고객·근로자·투자자들 중 일부의 지지와 신뢰를 잃는다. 어떤 시점에 도달하면 기업들은 다수파를 달래려는 시도를 중단하는 대신 고객과 소비자·투자자들 사이에 마음을 상하는 사람들의 숫자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다.

여론독자부 opinion2@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