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프리즘] 노인 빈곤 해법은 없나?

경기일보 2023. 10. 31. 03: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도형 홍익정경연구소장·청운대 교수

통계청은 26일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공·사적 연금 11종의 데이터를 연계한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21년 65세 이상 내국인 862만명 가운데 연급 수급자는 777만명으로 90.1%를 차지했고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60만원으로 집계됐다.

현재 노인 10명 중 1명은 연금을 아예 받지 않고 생계를 이어가고 있고, 연금 수급자의 절반가량은 월 39만원 이하로 노후를 보내고 있다. 이는 1인당 최소 노후생활비 124만원의 3분의 1 수준이다.

상황이 이런데도 은퇴를 준비해야 하는 50대 이상 장·노년층들의 상황은 녹록지 않다. 노후 준비는커녕 오히려 세 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 증가율이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소득하위 30% 또는 신용등급이 7~10등급인 취약차주 수 역시 50대 이상만 증가했다.

사실 한국의 노인 빈곤율 문제는 어제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한국의 상대적 노인 빈곤율은 43.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가장 높다. 미국(23%)과 일본(20%)은 20%대로 한국의 절반 수준이고 영국과 독일은 각각 15%, 11%를 기록하고 있다. 프랑스·덴마크·노르웨이는 4%대에 불과하다.

일각에선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매우 높은 한국 사회의 특징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빈곤율로 통계의 함정, 착시라고 주장한다. 매월 들어오는 가처분 소득만 따질 것이 아니라 고령층의 부동산 자산을 포함할 경우 노인 빈곤율은 21%로 크게 떨어진다고 한다.

실제 한국 고령세대의 부동산 집중은 주요국 중 이례적 현상이다.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등 실물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64%를 넘는다. 미국(28%)의 두 배가 넘고 일본(38%)보다도 훨씬 높다. 풍요로운 노후를 위해 비금융자산을 줄이고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다. 그러나 ‘집 한 채가 전 재산’인 상황에서 부동산으로 빈곤을 해결하긴 쉽지 않다.

이 같은 요인들은 한국의 노인자살률(인구 10만명당 46.6명)이 OECD 국가(평균 17.2명) 중에서 압도적 1위라는 사실을 쉽게 이해하고 설명하기에 충분하다. 가난한 한국 노인의 민낯이 아닐 수 없다.

준비 안 된 ‘노인공화국’, 더 이상 노인 빈곤 문제는 외면할 수 없는 국가 과제다. 빈곤과 고립은 결국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해법은 없을까? 노년층의 실질적 소득을 고려해 기초연금은 꼭 필요한 곳에 집약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여러 연금의 다층 보장 체제를 확대하고 자산 처분을 통해 빈곤에서 탈출할 수 있는 저소득 고(高)자산 노인에 대한 선별적, 맞춤형 지원도 중요하다. 주택연금이나 농지연금, 산지연금을 확대하고 세제 혜택도 폭넓게 인정해야 한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