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세수 펑크에 역점사업 올스톱… 지자체 ‘각자도생’ [심층기획]
정부 60% 메워도 40%는 지자체 부담
보통교부세 받는 지자체 교부액 10조 ↓
2733억 부산, 광역자치시 감소액 최다
제주특별자치도·창원시·해남군도 클 듯
세종시, 커뮤니티센터 착공 무기 연기
2024년 지방채 발행… 숙원사업 추진 방침
전남 무안군, 환경클린센서 건립 제동
경북도 등 업무비 감축 긴축재정 돌입
#2. 광주송정역과 서대구역 사이를 운행하는 ‘달빛고속철도’ 사업도 제동이 걸렸다. 사업비는 4조5000억원 규모로 전액 국비로 추진되는데 세수 부족에 따라 재정건전성 타격이 우려되면서다. 이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골자로 한 특별법 제정 역시 지연되거나 없던 일로 될 가능성이 크다. 예타를 받을 경우 ‘경제성이 없다’고 판명되면 사업 착수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유례없는 세수 부족에 지자체들은 부랴부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내년도 추진 사업 구조조정에 돌입하면서 민선8기 단체장들의 공약·역점사업도 덩달아 흔들리고 있다.
◆역대급 ‘세수 펑크’ 지자체 재정 ‘빨간불’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달 밝힌 세수 재추계 결과 올해 세금 수입은 지난해 예산안 편성 당시보다 59조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 세수를 예산액인 400조5000억원에서 14.8% 줄어든 341조4000억원으로 추산했다. 국세 감소는 지방세수, 지방교부세 감소로 이어진다. 지자체들 내년 곳간 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세수 부족분 59조원 가운데 정부가 채워야 할 부족분은 60%(36조원) 정도다. 나머지 40%는 각 지자체의 부담이 된다.
정부 재정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민간 연구기관인 나라살림연구소가 국세 감소에 따른 지자체별 보통교부세 감소액을 추정한 결과 부산시가 2733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제주특별자치도(3074억원), 경남 창원시(1297억원), 전남 해남군(730억원) 순으로 감소액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세수 부족이 지자체 재정 여건에 직격탄을 날리면서 지자체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단체장들의 대표 공약은 물론 신규사업은 모두 ‘멈춤’ 수준이다.
세종시는 내년 신규사업을 원점 재검토한다. 계속사업은 현 상태로 유지·보류한다. 행정체계가 단층제인 세종시는 지방세 중에서도 부동산 취득세 의존도가 높은데 1년 사이 30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3분의 1 이상 줄었다.
세종시는 지난 27일 2회 추경에서 지방세 869억원을 감액했고, 11월 추경에서도 지방세 300억원 정도를 줄일 예정이다. 총사업비 489억원이 투입되는 세종시 복합커뮤니티센터의 경우 착공을 최대한 연기한다. 내년 9월 시범운행 예정이던 시내버스 무료화 사업도 내년 예산에 시스템 구축 예산 7억원만 포함시켰다. 나머지 사업비는 내년 추경에 세울 예정이나 여건에 따라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장경애 세종시 예산팀장은 “행사성 운영경비는 최대 30%, 전액 시비 사업은 20% 줄인다”며 “계속사업은 설계를 마치면 착공을 연기하고 일부는 보류한다”고 말했다.
일부 지자체는 당장 공무원 인건비 미지급 우려가 나온다. 경기 의정부시는 내년 시 보조금을 대폭 줄일 방침인데, 대부분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인건비로 쓰였던 만큼 사회복지 인력 상당수가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자체들은 지방채 발행과 행정경비 축소·지급 유보 등으로 발등의 불을 끄고 있다.
대전시는 대전도시철도공사 운영비 등을 절반만 지급하거나 유보하는 형식으로 예산을 운용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예산 총액은 같지만 재정 여건상 내년엔 적게 지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세종시는 내년도 지방채 발행을 검토 중이다. 세종시는 매해 필수사업인 재해예방사업과 주민 숙원사업인 조치원·연기비행장 이전에 지방채를 발행해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경북도는 긴축재정을 운영한다. 경북도는 100억원 이상 사업은 보류시키는 한편 우선순위가 낮은 사업비를 줄이고 민간보조금도 30% 정도 감액한다.
일부 지자체도 공무출장비와 사무용품 구입비, 업무추진비 등 행정운영경비 등을 일괄 감축키로 했다.
김준모 건국대 교수(행정학과)는 “지방재정이 한 번 어려워지면 회복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며 “주민 눈높이에 맞춰 지자체가 사업 총액을 높게 잡는 관행이 있는데, 앞으로는 정책 개발에 신중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남긴다”고 말했다.
대전·대구·무안=강은선·김덕용·김선덕 기자, 전국종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처럼 결혼·출산 NO”…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서 주목받는 ‘4B 운동’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내 성별은 이제 여자” 女 탈의실도 맘대로 이용… 괜찮을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단독] “초등생들도 이용하는 女탈의실, 성인男들 버젓이”… 난리난 용산초 수영장
- ‘女스태프 성폭행’ 강지환, 항소심 판결 뒤집혔다…“前소속사에 35억 지급하라”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