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이렇습니다] 여가부 “촘촘한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만들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여성가족부의 권익증진국 사업 예산은 올해 137,893백만원에서 2024년 정부안 기준 132,597백만원으로 142억이 아닌 53억이 감액되었습니다.
ㅇ 해바라기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5대 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사업 등을 확충하고, 스토킹 피해자 및 가정폭력 피해자(이주여성 포함) 동반아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 보다 촘촘한 피해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예산은 확대하였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 내용]
□ 10월 30일, 연합뉴스「여성폭력 피해자 예산 삭감 결정 당장 철회해야」등 일부 언론의 기사에서,
ㅇ 일부 여성·시민단체는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 예산이 142억 감축되었고, 성희롱·성폭력, 가정폭력을 비롯해 이주여성·북한이탈여성 폭력피해 예방을 위한 인식 개선과 홍보예산 등이 삭감되었으며, 피해자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예산 확보와 제도 정비가 중요하다고 주장함
[여가부 설명]
□ 여성가족부의 권익증진국 사업 예산은 올해 137,893백만원에서 2024년 정부안 기준 132,597백만원으로 142억이 아닌 53억이 감액되었습니다.
ㅇ 이는 국가 부채 증가와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에서 건전 재정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 유사중복 사업 통폐합, 보조사업 운영 효율화에 따른 것으로,
ㅇ 해바라기센터,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5대 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사업 등을 확충하고, 스토킹 피해자 및 가정폭력 피해자(이주여성 포함) 동반아동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 보다 촘촘한 피해 지원체계 강화를 위한 예산은 확대하였습니다.
< 주요 증액 내역 >
•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1개소, 2억 원) 및 해바라기센터(1개소, 3.3억 원) 신규 설치 5.3억 원(신규)
• 5대 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2→5개소(6.5억원 /증 4.5억원)
• 스토킹 피해자를 위한 긴급주거지원(10→17개소), 안전장비 구축비 신규 지원 등 24억 원(증 10억 원)
• 가정폭력 피해자 자립지원을 위해 동반아동 자립지원금 신설 5억 원(신규)
•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 영상증인신문 지원 확대 17.7억원(증 4.7억 원)
□ ‘통합상담소* 전환’과 관련해서는 최근 증가하는 스토킹 및 교제폭력 등 신종폭력 피해자에 대한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부 가정폭력상담소를 통합상담소(25개소)로 전환하되, 부정수급, 실적저조 등의 사유가 발생한 일부상담소(5개소)에 대해서는 지원을 중단할 계획입니다.
* 가정폭력방지법 제14조에 근거, 성폭력, 가정폭력, 스토킹 등 다양한 유형의 폭력에 대해 상담, 보호, 치료, 법률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함
※ 가정폭력 신고건수는 감소추세(’19년 24만 건 → ’22년 22.6만 건, 6% 감소)인 반면, 스토킹(’19년 5,468건 → ’22년 29,565건, 440% 증가), 교제폭력(’19년 9,823건 → ’22년 12,828건, 30% 증가)은 증가 추세
□ ‘디지털성범죄지역특화상담소 통합상담소 이관’은 매년 사업자를 선정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기존 통합상담소와 지자체 디지털 성범죄 피해지원기관 중심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 방식을 바꾸어 피해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ㅇ 대부분 기간제로 고용되어 있는 특화상담소 종사자들이 정규직으로 고용 승계될 수 있도록 하여, 내년부터는 안정적인 근무 환경에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 기타 성폭력 피해자 치료회복프로그램은 부정수급 발생, 의료비는 불용액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어 일부 예산을 삭감하였고, 홍보 사업은 기 제작된 홍보콘텐츠를 활용하되 주요 계기 등과 연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정책 수요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 여성폭력 피해 지원 및 예방의 보다 효과적 추진을 위해 관계 부처 협의와 지자체 협조 및 현장과의 소통을 강화하여 사업운영을 효율화하고, 피해자 지원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문의 :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 권익정책과(02-2100-6383), 권익지원과(02-2100-6396), 권익침해방지과(02-2100-6167), 권익보호과(02-2100-6422)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소 럼피스킨병 팩트체크 - 축산농가 대상
- 기재부 “복권수탁사업자 선정시 제안서류 검증 절차 진행”
- 여가부 “촘촘한 여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만들 것”
- 소 럼피스킨병 팩트체크 - 대국민용
- 공정위 “합리적인 독과점 정책방향 검토 중”
- 중기부 “모태펀드 루키리그, 모든 벤처캐피탈에 공정 적용”
- 농식품부 “김장용 배추 출하 지역 확대로 가격 안정 추세”
- ‘5·18 민주화운동 상징’ 옛 전남도청, 국민 화합 장소로 복원
- [복지부 차관에게 듣는 저출산 고령화 해법] 난임·다둥이 가정 ‘맞춤형’ 지원
- [정책현장+] 인공지능 활용 산불합동진화 시범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