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20~30대 여성 음주 늘었다...여성 고위험음주도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10년간 남성 음주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한 반면 여성 음주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간 전반적인 음주행태에 큰 변화는 없었지만 연령별로 남자는 40~50대, 여자는 20~30대에서 특히 음주율이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고위험음주율'은 남자에서는 감소, 여자에서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에서의 고위험음주율은 남자 20.4%, 여자 9%로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10년간 남성 음주율은 전반적으로 감소한 반면 여성 음주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30일 발간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 내용이다. 2012~2021년 10년간 19세 이상 성인의 음주행태를 살핀 결과다.
분석 결과 지난 10년간 전반적인 음주행태에 큰 변화는 없었지만 연령별로 남자는 40~50대, 여자는 20~30대에서 특히 음주율이 높게 나타났다.
고위험 음주를 하는 비율은 남자 14%, 여자 4.2%로 남자가 3배 정도 많았다. 하지만 '고위험음주율'은 남자에서는 감소, 여자에서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고위험음주율은 1회 음주량이 남자는 7잔, 여자는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마신 분율을 의미한다. 남자는 2012년 25.1%에서 2021년 23.6%로 감소했고, 여자는 7.9%에서 8.9%로 증가했다.
1회 음주량이 남자는 7잔, 여자는 5잔 이상을 월 1회 이상 마신 분율인 '월간폭음률' 또한 남자는 61.7%에서 56.0%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여자는 31%에서 31.1%로 큰 변화가 없었다.
1회 음주량이 남자는 5잔, 여자는 3잔 이상을 주 4회 이상 마신 분율인 '지속적 위험음주율'은 남자는 10%, 여자는 3% 내외로 연도별 증감을 반복했다. 남자는 50~60대, 여자는 30대에서 가장 높았다.
담배와 음주를 둘 다 하는 비율은 최근 10년간 감소했다.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에서의 고위험음주율은 남자 20.4%, 여자 9%로 높았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김광기 인제대 교수는 “우리나라는 음주에 관대한 문화적 특성이 있다”며 “20~30대 여자 음주율이 높은 것은 도수가 낮은 술이나 과실주 등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사회·문화적 수용도가 높아진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주류 소비 및 음주 폐해 감소를 위해서는 대국민 음주가이드라인 개발, 음주 경고문구 강화, 주류 광고 및 마케팅 규제, 장소·시간적 음주 제한 등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문세영 기자 moon09@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