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 판소리 '춘향가' 시연회 보러갈까?

김호성 객원기자 2023. 10. 30. 11:4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편제 전설’ 김봉이의 1915년 ‘기생점고’음원 최초 공개
이동백·김창룡 등 ‘기생점고’, ‘어사장모상봉’ 대목 비교창
1백년전 판소리 춘향가 – 눈대목 비교 시연회 포스터

100년 전의 판소리 명창들이 부른 <춘향가>의 눈대목을 한 자리에서 비교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무대가 마련된다.


경서도소리포럼(대표 김문성)은 (재)한국문화재재단의 2023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민간보조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오는 11월 4일(토) 오후 5시 서울 강남구 민속극장 풍류에서 '1백 년 전 판소리 춘향가 눈대목 비교 시연회 – 기생점고 & 어사장모상봉'을 개최한다.


'논문 한 편을 보고 듣는 시연회'라는 부제처럼 이 공연은 100년 전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들이 판소리를 어떻게 발전·변화시켰는지를 비교해 볼 목적으로 마련한 것으로, <춘향가> 중 대표적인 눈대목인 '기생점고'와 '어사장모 상봉' 대목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특히 이번 공연은 서편제의 시조로 추앙받는 명창 김창환의 아들이자 전설적인 명창 임방울의 스승으로 알려진 김봉이(金鳳伊. 1878~1929. 전남 나주생)가 1915년 미국 빅타 레코드에 남긴 <춘향가> 중 '기생점고'가 109년 만에 처음으로 공개된다는 게 특별하다.


또한 같은 해 이동백이 남긴 <춘향가> 중 '어사장모상봉' 대목 전 곡이 사상 처음으로 공개되며, 1925년 중고제 명창 김창룡(金昌龍. 1872-1943. 근대 5명창. 충남 서천생)과 서도 명창 박월정(朴月庭. 1901~1960. 평남 강서생)이 일동 레코드에 각각 남긴 판소리 '기생점고' 대목도 함께 공개된다.


109년 만에 다시 듣는 김봉이 <춘향가> "사람 소리가 아닌 귀신소리"

김봉이 춘향가중 기생점고 SP음반, 이동백 춘향가중 어사장모상봉 SP음반, 박월정의 '기생점고' SP음반(왼쪽부터)

김봉이(1878~1929)는 판소리 5명창으로 아버지 김창환을 사사했다. 1915년 미국빅타 레코드사가 김봉이의 <춘향가> 중 '이별가'와 '기생점고'를 녹음했는데, 그 중 '이별가' 실물은 1993년 신나라레코드를 통해 존재 여부가 확인된 적 있다. 반면 '기생점고'는 그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았으나 이번에 존재 여부가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김봉이의 판소리는 김창환에 비해 장식음이 많고 전조 현상이 보이는 등 서편제 초기 모습을 가진 판소리로 평가받는다. <수궁가> 인간문화재였던 명창 정광수는 김봉이의 소리를 '사람 소리가 아니라 귀신 소리'라고 평하기도 했다.

한편 같은 해 녹음된 이동백의 '어사장모상봉' 대목은 그가 40대에 녹음한 <춘향가>의 유일한 자료로서, 박석티부터 장모가 좋아라고 대목까지 총 14분에 걸쳐 녹음되어 있다. 이 녹음 역시 이번에 처음으로 전모가 공개된다.

다른 유파의 '어사장모상봉' 대목과 다른 점은 춘향이 옛집을 묘사하는 부분이 매우 섬세하고 장모 축원 대목이 길며, 장모가 좋아라고 대목으로 끝을 맺는다는 점이다. 아니리가 적고 슬픈 대목의 목구성이 담담하게 표현되는 전형적인 중고제 소리를 보여준다.

김창룡과 박월정의 '기생점고'는 1925년 일동레코드에서 녹음되었는데, 김창룡의 '기생점고'는 아니리를 창으로 부르는 특징이 있으며, 서도소리꾼이면서 판소리 명창이기도 한 박월정 역시 '기생점고'를 아니리 없이 부른 공통점이 있다.

박월정은 조선 후기 대명창 정춘풍제를 잇고 있는 충남 홍성의 유공렬과도 친분이 있는 등 중고제를 배운 것으로 추정되는 소리꾼으로, 서도 시김새와 남도 창법을 절묘하게 배합해 판소리를 구사하는 특징을 보인다.

젊은 소리꾼 5명이 펼치는 열정의 무대

시연회에 참여하는 소리꾼 (왼쪽부터) 박은정(45), 이효덕(37), 이나라(36), 이성현(28), 박지수(22)

이날 무대는 현재 판소리계에서 젊은 천재 소리꾼으로 인정받고 있는 5명의 국악인이 꾸민다.


판소리 대통령상 수상자로 국가문화재 판소리 이수자 박은정(45)은 정정렬의 <춘향가>를 재현하며, 조상현 명창의 제자로 22년 KBS국악대경연 대상을 수상한, 국립창극단의 새내기 단원 이성현(28)은 이동백의 <춘향가>를 재현한다.


오랫동안 중고제 명창의 소리 재현에 힘쓰고 있는 이효덕(37)은 김봉이와 정정렬(丁貞烈. 1876~1938. 근대 5명창. 전북 익산생)의 <춘향가>를, 구례동편 판소리를 잇고 있는 차세대 소리꾼 박지수(22)는 김창룡의 <춘향가>와 김초향(金楚香. 1900~1983. 대구생)의 <춘향가>를 각각 재현한다.


판소리가 아닌 서도소리를 전공하며 현재 '타루' 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이나라(36)는 박월정의 <춘향가> 중 '암행어사 출도' 대목을 부른다. 고수는 송만갑 고수대회 명고부 장원을 차지한 김민서(44), 최재명(23) 명고가 맡는다.

고수 김민서, 최재명(왼쪽부터)

시연회에 앞서 경인교대 김혜정 교수가 김봉이, 이동백, 김창룡, 박월정 등이 부른 '기생점고'와 '어사장모상봉' 대목의 특징과 가치, 그리고 시연회의 의미에 관해 설명한다. 시연이 끝난 후에는 관객과의 질의응답 자리도 마련된다.


시연회를 기획한 한윤정 예술감독은 "판소리 논문 두 편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 같은 시간이 될 것"이라며, "오늘날 판소리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계기가 마련된 20세기 초반 <춘향가>의 눈대목을 직접 감상하고, 시연을 통해 확인하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석 무료로 진행된다. 사전 예약은 이메일(kimdica@naver.com) 또는 전화로 하면 된다.

 

Copyright © 투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