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 2000명 왔던 美평화봉사단…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달랐다”

김은중 기자 2023. 10. 30. 03: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미 동맹 70년, 번영을 위한 동맹] [15]
한국 다시 찾은 단원들 “뿌듯해”
“우리가 얻은 게 더 많아” - 미 평화봉사단원 출신인 데이비드 스미스(70), 폴라 루이스 베를린(68), 제임스 캘러헌(75)씨(왼쪽부터)가 27일 서울 종로구 호텔에서 손을 흔들고 있다. 70년대 한국에 파견돼 교육·보건 봉사를 했던 이들은 정부 초청으로 40여 년 만에 한국을 다시 찾았다. /고운호 기자

“매일 아침이면 마을에 울려퍼지던 새마을운동 노래의 멜로디가 지금도 기억납니다. 근면 성실함으로 무장한 한국인들은 (다른 나라 사람들과) 달랐어요.”

70년대 미국 평화봉사단(Peace Corps Volunteers) 단원으로 한국에 파견돼 교육·보건 봉사를 했던 데이비드 스미스(70), 제임스 캘러한(75), 폴라 루이스 베를린(68)씨는 27일 본지 인터뷰에서 이렇게 입을 모았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 초청으로 한국을 40여년 만에 다시 찾은 이들은 “인천공항에 내리고 나서부터 경탄의 연속이었다”며 “한국이 경이적인 경제 성취를 이뤘고, 이제는 BTS·블랙핑크를 보유한 문화 강국이자 미국의 ‘탑티어(top-tier) 동맹’으로 거듭나고 있으니 우리도 뿌듯하고 자랑스럽다”고 했다.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서울에서 4-50년 만에 한국을 찾은 평화봉사단원 왼쪽부터 데이빗 스미스, 폴라 루이스 베를린, 제임스 캘러한씨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고운호 기자

미 평화봉사단은 1966년부터 1981년까지 약 2000명의 단원들을 한국에 파견했다. 주로 환경이 열악한 지방 도시에서 영어 교육, 결핵 퇴치 사업을 전개하며 전후 재건을 도왔다. 이런 지식·기술·경험 전수는 한국 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됐다. 평화봉사단은 1981년 “이제 더 파견이 필요 없겠다”며 한국 프로그램을 종료했지만, 2년여 한국 생활을 통해 지한파(知韓派)로 거듭난 단원 출신들은 지금까지도 동맹의 가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단원들이 파견될 당시만 하더라도 한국은 미국에서 북한보다도 덜 유명한 ‘미지(未知)의 나라’였다고 한다. 70년대 초반 제주 서귀포에서 배우자와 함께 영어 교사로 봉사한 캘러한씨는 “절이 많은 전형적인 아시아 국가 정도로만 생각했다”고 했고, 베를린씨는 “인터넷도 없던 시절에 지구 반대편으로 가겠다 하니 가족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스미스씨는 “시골에 살던 대부분의 한국인들에게 우리는 난생처음 보는 외국인이었다”며 “매일같이 내게 다가와 ‘영어를 가르쳐달라’고 조르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고 했다.

1981년 경남의 한 지역에서 평화봉사단원이 보건소에서 ‘나병은 유전병이 아니다’라는 내용을 적은 플래카드를 걸고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70년대 후반 여수 애양원에서 봉사한 스미스씨는 “밥알에 콩이 몇 알 올라가 있는 걸 보고 ‘여기선 엄청 비싼 음식이니 저렇게 조금만 주는 거구나’ 속으로 생각했다”며 “근무시간이 길었고 식사도 조악했지만 나보다 생활 환경이 열악했던 한국인들을 보며 종종 죄책감이 들기도 했다”고 말했다. 베를린씨는 1979년 10·26 사태와 그 직후 선포된 계엄령이 뇌리에 깊게 남아있다고 했다. 그는 “내가 매주 받아보던 주간지(뉴스위크)의 아시아 섹션에 (당국의 검열로 인해) 항상 구멍이 나 있었다”면서도 “하지만 단 한 번도 공포스럽다 느낀 적은 없었다”고 했다.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했지만 이들은 “한국에서 보낸 시간이 인생의 진로를 정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우리가 더 얻은 게 많았다”고 했다. 봉사단 활동 이후 터프츠대 플레처스쿨에 진학해 국제 개발을 전공한 스미스씨는 “내가 살던 하숙집 위층 공부방에 시골에서 유학 온 학생들이 살았는데 오전 6시쯤 불이 켜진 뒤 자정 무렵까지 꺼지지 않았다”며 “한 나라가 발전하려면 ‘미래에 대한 희망’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때 알게 됐다”고 했다. 한국 경제사를 공부했다는 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해 “사재 축적이 아니라 경제 발전에 매진한 지도자가 있었다는 점에서 한국은 운이 좋았다”고 했다.

1967년 경기도 의정부여자중학교에서 봉사단원이 학생들에게 영어 수업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캘러한씨는 중앙아시아·남아메리카 등에서 외교관으로 20년 넘게 일했다. 그는 “다른 나라들도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고 미국이 많은 돈을 투자했지만 결과는 달랐다”며 “교육열에서 비롯된 우수한 인적 자본이 ‘한강의 기적’을 만든 것”이라고 했다. “보건소에서 했던 일을 너무 사랑했다”던 베를린씨는 미국에서 의학을 공부해 의대 교수가 됐다. 그는 “지금도 미국 학생들에게 한국인들이 얼마나 근면 성실했는지에 대해 강의한다”고 했다.

☞미국 평화봉사단

미국 청년들을 개발도상국에 파견해 기술과 지식을 전수하는 연방정부의 행정기관이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인생의 2년을 봉사해 세계 평화에 기여하자”며 1961년 설립했다. 현재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아프리카·중남미·동남아 등 40국에서 농업·보건·교육 지원을 하고 있다. 한국에는 1966년부터 1981년까지 약 2000명의 단원을 파견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