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홍진경 '사칭 광고' 우수수…"막을 방법이 없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명 방송인을 사칭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광고가 난무하고 있다.
주로 메타(옛 페이스북)가 운영하는 SNS인 인스타그램·페이스북에서 책을 준다는 내용의 악성 스팸 콘텐츠를 띄우고 카카오 오픈채팅방 또는 네이버 밴드 채널로 유인한다.
또 개보위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운영 중인 주요 핫라인(구글·메타·네이버·카카오·트위터·데일리모션·VK·타오바오·텐센트·핀터레스트·MS·SK컴즈)과 협조 체계를 강화해 불법 게시물 탐지·삭제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락처 받아내 '주식 투자' 권유…"적극 신고 최선"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안녕하세요 백종원입니다. 저는 수백억 원을 가진 투자자이며 최근에 매우 전문적인 투자서적을 읽고 많은 걸 배웠습니다. 책 5000권을 증정합니다"(방송인 백종원 씨 사칭 계정)
유명 방송인을 사칭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광고가 난무하고 있다. 주로 메타(옛 페이스북)가 운영하는 SNS인 인스타그램·페이스북에서 책을 준다는 내용의 악성 스팸 콘텐츠를 띄우고 카카오 오픈채팅방 또는 네이버 밴드 채널로 유인한다. 인지도가 높은 유명인을 활용한 일명 '사회공학적' 기법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요리 연구가 백종원·방송인 홍진경·주진형 전 한화투자증권 대표라고 위장한 계정이 발견돼 주의가 요구된다. 해당 계정이 쓰는 수법은 사실상 동일하다.
유명인 사진을 도용해 주식 투자를 잘하는 법을 담은 책을 준다고 글을 띄운다. 또 카카오 오픈채팅방이나 네이버 밴드 URL(인터넷 주소)을 올린다.
개인이 무심코 해당 URL을 누르면 책을 받을 주소나 전화번호 같은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한다. 실제 정보를 입력하면 강연 참석과 주식 투자를 권유하는 메시지를 계속 보낸다. 주진형 전 대표 사칭 계정 채팅방 운영자는 "이번 그룹은 주진형 씨와 함께 만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정부 부처 역시 해당 문제를 인지하고 조치에 나선 상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보위)는 25일 메타에 '이용자(피해자) 신고 절차' 안내와 타인 사칭 계정 통제장치 운영 강화 등 개인정보 보호 강화조치를 긴급 요청했다.
개인정보 보호법 제34조 2항에 따른 조치다. 해당 조항은 개인정보처리자가 보호위원회 또는 대통령령으로 지정한 전문기관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정보를 삭제 또는 차단해야 하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메타 국내 법인 관계자는 "타인 사칭 계정은 메타 정책에 따라 엄격이 금지된다"며 "내부적으로도 현 사안을 심각하게 보고 있고, 사칭 계정 단속을 위해 추가 모니터링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또 개보위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운영 중인 주요 핫라인(구글·메타·네이버·카카오·트위터·데일리모션·VK·타오바오·텐센트·핀터레스트·MS·SK컴즈)과 협조 체계를 강화해 불법 게시물 탐지·삭제를 이어갈 방침이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도 유명인을 사칭해 투자를 유도하는 '주식 리딩방'을 자본시장법 위반을 근거로 경찰에 수사 의뢰할 예정이다.
국내 플랫폼 업체 역시 이번 문제를 주목하고 있다.
카카오(035720)는 이달 30일 카카오톡 운영 정책을 개정했다. 톡프로필·오픈채팅방을 홍보하기 위해 불범스팸을 보낼 경우 계정 이용자의 카카오톡 서비스 일부 또는 전체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는 내용을 추가했다.
네이버는 밴드 전담 모니터링팀을 운영하며 보안 기준을 높였다. 네이버 측은 "지금까지 AI(인공지능) 시스템으로 (유해) 키워드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게시물을 (모니터 전문) 인력이 한번 더 2차로 보면서 문제되는 것을 걸러내왔다"며 "현재 좀더 세부적인 기준을 세워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보안업계는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한 뚜렷한 해결책이 없다고 본다. 플랫폼 업체의 모니터 강화·피해자의 적극 신고·콘텐츠 소비자의 주의가 최선이라는 입장이다.
국내 플랫폼의 경우 자정작업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외국계 기업은 사각지대에 놓였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된다.
김명주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플랫폼의 자정 작용과 (피해) 당사자의 적극적인 법적 대응, 시민들의 인식 강화가 필요하다"며 "어느 한쪽이 어긋나면 해당 문제가 계속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고령층의 경우 향수를 자극하는 연예인 사칭 계정을 보고 연락처를 입력할 확률이 높다"며 "과거 일부 유명인은 이미지 훼손을 우려해 알면서도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제는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woobi12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전처, 김병만 명의로 사망보험 20개 가입…수익자도 그녀와 양녀 딸" 충격
- 괌 원정출산 산모, 20시간 방치 홀로 사망…알선업체 "개인 질병, 우린 책임 없다"
- 격투기 선수 폰에 '미성년자 성착취 영상' 수십개…경찰, 알고도 수사 안했다
- 토니안 "상상초월 돈 번 뒤 우울증…베란다 밑 보며 멋있게 죽는 방법 생각"
- 절도·폭행에 세탁실 소변 테러…곳곳 누비며 공포감 '고시원 무법자'
- 김태희, ♥비·두 딸과 성당서 포착…"꿈꾸던 화목한 가정 이뤄"
- 14만 유튜버 "군인들 밥값 대신 결제" 말하자…사장님이 내린 결정 '흐뭇'
- 박나래 "만취해 상의탈의…이시언이 이단옆차기 날려 막아"
- 최현욱, SNS '전라 노출' 사진 게시 사고…'빛삭'에도 구설
- 12억 핑크 롤스로이스에 트럭 '쾅'…범퍼 나갔는데 "그냥 가세요"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