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뻑뻑? 쫀득해" 맥주 찌꺼기의 변신…못생겨도 맛 좋다

김수영 기자 2023. 10. 28. 20: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식품 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또 수해를 입은 과일 같은 거는 주로 버려져 왔습니다.

이런 것들을 새롭게 활용하는 걸 식품 업사이클링이라고 하는데요.

이렇게 버려지는 식품 부산물을 재가공해 만든 빵과 음료에 대한 소비자 반응도 긍정적입니다.

식품 업사이클링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지난해 약 70조 원 규모에서 2032년 약 11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식품도 버리지 말고 '업사이클링'

<앵커>

식품 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 또 수해를 입은 과일 같은 거는 주로 버려져 왔습니다. 이런 것들을 새롭게 활용하는 걸 식품 업사이클링이라고 하는데요. 최근 이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맥주 생산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을 수거한 뒤, 대형 통에 넣고, 뜨거운 공기로 말립니다.

여러 번의 건조와 분쇄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건, 밀가루와 비슷한 가루입니다.

[민명준/푸드 업사이클링 업체 대표 : 식이섬유가 워낙 높고 단백질이 높다 보니 건강 기능성 원료로의 그런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수분을 흡수해서 유통기한을 늘리는 그런 형태의 기능성 원료 역할을 하기도 하고요.]

이렇게 버려지는 식품 부산물을 재가공해 만든 빵과 음료에 대한 소비자 반응도 긍정적입니다.

[정석주/경기 고양시 : 뻑뻑할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쫀득하고 깔끔해서 먹는데 무리 없이 먹고 있습니다.]

상품성이 떨어지는 농산물을 소비자 접근성을 높여 판매하는 형태도 있습니다.


한 편의점에서는 크기가 다소 작은 감자와 수해를 입어 흠집이 생긴 사과를 저렴하게 팔고 있습니다.

[나기희/서울 양천구 : 낙과가 떨어졌다고 맛없는 건 아니거든요. 먹어보면 맛있어요. 요즘에 비싸잖아요, 뭐든지. 가격이 저렴한 게 좋은 것 같아요.]

농가도 살리고, 소비자도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건데, 폐기 비용을 줄이고 환경도 살릴 수 있어, 식품 대기업들도 업사이클링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식품 업사이클링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지난해 약 70조 원 규모에서 2032년 약 11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짝' 유행이나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지 않으려면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가치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에게 더 편한 유통망을 제공하는 게 관건입니다.

(영상취재: 박진호·양지훈, 영상편집 : 원형희)

김수영 기자 swi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