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팔 전쟁 해법은...'집단적 감정'은 어떻게 움직일까

박진영 심리학 칼럼니스트 2023. 10. 28.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쟁은 항상 가혹하다.

이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분쟁에서도 무고한 시민들의 희생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헤브루대의 심리학자 로니 포랫에 의하면 집단적 감정이란 결국 집단의 목적이 변함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분쟁에서도 생각보다 상황에 따라 서로에 대한 감정의 온도차가 크게 변화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공습에 어린이 안고 대피하는 가자지구 주민들. 연합뉴스 제공

전쟁은 항상 가혹하다. 이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분쟁에서도 무고한 시민들의 희생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휴전을 촉구하는 목소리들이 커져가는 가운데 끝장(?)을 봐야 한다는 주장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여기에는 집단적 분노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적을 ‘인간 이하’로 규정하고 무자비한 보복을 요구하는 목소리들이 적지 않다. 원래는 평화와 공존을 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을 테지만 한 번 분쟁이 촉발되고 나면 분노가 집단을 관통하는 주된 정서가 되는 현상은 흔히 관찰된다. 

하지만 여론이란 생각보다 쉽게 바뀌기도 해서 언제든 분위기가 바뀌면 화해가 급물살을 타기도 한다. 헤브루대의 심리학자 로니 포랫에 의하면 집단적 감정이란 결국 집단의 목적이 변함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감정이란 어떤 사건이 발생하고 난 다음에 찾아오는 수동적인 반응인 것 같지만 실은 감정을 느끼는 사람이 어떤 목적과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크게 달라지곤 한다. 

예컨대 큰 피해를 보았을 때 신변의 안전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여기면 두려움을 느끼고 도망을 치게 되지만 피해를 가져온 상대와 싸워서 이기는 것이 목적이라면 분노를 느끼게 된다. 이렇게 사람들마다 감정에 대한 ‘기호’가 달라서 안전을 확보하는 것보다 싸워서 이기는 것을 더 선호하는 사람이라면 분노를 더 자주 더 크게 느낀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포랫에 의하면 집단적 감정도 마찬가지다. 집단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분쟁이 일어난 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싸워서 이기는 것이 우리 집단에게 더 큰 이득이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많은 사람들이 분노를 느끼게 되지만 평화적인 해결이 장기적으로는 더 중요하다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분노는 수그러들고 상대방을 용서해보려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분쟁에서도 생각보다 상황에 따라 서로에 대한 감정의 온도차가 크게 변화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러니까 많은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일어난 사건에 대해 어떻게 느낄지 결정할 때 전체적인 ‘분위기’를 살펴보고 지금 사회가 분노와 맹목적인 애국심, 사이다 같은 시원함을 원하는지, 아니면 냉철함과 장기적인 해법을 원하는지에 따라 생각보다 쉽게 감정적 노선을 바꾼다는 것이다. 

남북관계나 한일 관계도 한창 긴장이 고조되었다가 또 갑자기 분위기가 좋아지기도 하는 것처럼 여론이란 한 번 물살을 타면 모두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성질을 띄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여론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언론이나 리더들의 역할이 한 사회의 운명을 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듯 보인다. 싸움과 보복을 부추기는 목소리들이 많은지, 아니면 인간다움을 잃지 않을 것을 촉구하는 목소리들이 많은지에 따라 많은 것이 달라진다. 

물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분쟁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만큼 향방을 예측하기 힘들지만 가급적 평화적인 해결을 통해 무고한 희생이 늘어나지 않기를 바래본다. 

Porat, R., Halperin, E., & Tamir, M. (2016). What we want is what we get: Group-based emotional preferences and conflict resolu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0(2), 167–190. https://doi.org/10.1037/pspa0000043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있다

[박진영 심리학 칼럼니스트 parkjy0217@gmail.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