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물난리 후…日·中은 인프라 보완, 한국은 손놨다
기후변화 여파로 기록적 폭우와 태풍이 최근 동아시아를 강타하는 가운데 우리나라만 지난 5년간 가을·겨울철에 이듬해 치수 대책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물 재해가 반복되지만, ‘치수 불감증’ 탓에 여름철 큰 홍수 피해가 계속된다는 지적이다.
27일 환경부가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까지 한·일·중 3국은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큰 물난리를 겪었다. 일본과 중국은 여름이 끝난 직후부터 치수 인프라를 보완·강화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대책을 내놨지만, 우리나라만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
일본은 2018년 7월 서일본 집중호우, 9월 태풍 상륙으로 물난리가 크게 나자 당시 아베 총리 지시로 2014년 발표한 ‘국토강인화 계획’을 재검토해 하천·하수도 등 중요 인프라 개선 작업을 시작했다. 침수 우려가 있는 전국 하천 2340곳을 점검하고, 철도 교량 240곳과 6개 공항, 병원·관공서 등 주요 국가 기반 시설의 배수 시설을 정비했다. 2020년 3월에는 여름철 집중호우가 예상되자 ‘유역 치수 프로젝트’를 가동해 전국 121개 수계(水系)의 본류와 지류·지천, 빗물 저류 시설 등을 점검·정비했다. 이 같은 대비에도 홍수 피해가 발생하자, 그해 11월 환경·지역단체 반대로 무산됐던 가와베가와댐 건설을 다시 추진했다.
중국은 2021년 여름 대홍수 후 이듬해 1월 ‘14·5 물 안전 보장계획’을 발표하고 2025년까지 저수용량 40억㎥를 추가하는 유역 홍수 방지 대책을 내놨다. 한국의 ‘4대강 사업’처럼 대규모 하천의 본류 제방 건설을 추진하고, 지류·지천 관리도 강화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2020년 섬진강·영산강 권역의 큰 홍수를 겪고도 치수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오히려 보 해체와 ‘국가 주도 댐 건설 중단’을 선언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 정부 들어 4대강 보 정상화와 신규 댐 건설, 노후 제방 재정비, 하천 준설 등 치수 정책 재편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