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러가 죽었다…그들의 말은 칼이 되었다

김세훈·정효진 기자 2023. 10. 27. 21: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난 피해자 두 번 울리는 혐오
세월호·이태원 참사 유가족들
“정부가 조롱·차별 확산 방치”
내일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식

“살아 돌아온 재현이는 인터넷 공간에서 혐오표현을 마주해야 했습니다. 아이는 억울함과 분노를 토로하며 장문의 댓글을 달기도 했습니다. 2차 가해성 발언이 유통되면서 재현이의 심리적 고립감은 커져갔습니다.”

이태원 참사 159번째 희생자인 고 이재현군의 어머니 송해진씨가 27일 국회 토론회에서 말했다. 이군은 참사 현장에서 살아남았지만 43일 뒤 ‘먼저 간 친구들이 그립다’는 말을 남기고 극단적 선택을 했다. 송씨는 “아이가 떠난 뒤 세상과 단절된 채 있다. 유가족을 향한 혐오성 발언이 계속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유가족이 상처를 치료할 방법은 없다”고 했다.

4·16재단,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등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혐오차별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반복된 참사를 겪었지만 혐오표현의 자정 능력은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정부의 방치 아래 참사의 책임이 피해자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정민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위원장은 “정부와 여당은 참사 이후 부실 대처에 대한 비판이 쏟아지자 이태원을 찾았던 사람들에게 책임을 돌렸다. 그곳에 놀러 간 사람들이 무분별한 사람들인 것처럼 규정하고, ‘놀다가 죽었다’는 말로 낙인찍었다”며 “혐오표현이 만연한 사회에 문제의식을 느끼지 않는다면 우리가 이태원 참사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없다”고 했다.

조인영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는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직접적 명예훼손·혐오표현의 범주로 직접적 조롱과 부정적 여론 형성을 꼽았다. 직접적 조롱의 예로는 ‘핼러윈 축제에 즐기러 가서 죽었다’ 등이, 부정적 여론을 형성하는 표현으로는 ‘국민에게 슬픔을 강요하지 말라’ 등이 제시됐다. 조 변호사는 “혐오표현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재생산되고, 교묘해지고 있다. 형사처벌만 피하면 어떤 표현도 용인된다는 식의 태도가 늘어나고 있다”며 “정부가 혐오표현에 대해 어떤 입장도 표현하지 않은 것이 혐오표현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고 했다.

이병귀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사이버범죄수사과장은 “현행 명예훼손 법리로는 유가족을 대상으로 한 집단표현은 통상 처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면서 “재난 피해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모욕과 명예훼손에 대해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태원 참사 1주기 당일인 29일에는 서울광장 분향소 앞에서 추모식이 열릴 예정이다.

김세훈·정효진 기자 ksh371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