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재취업해도 국민연금 안 깎인다…'감액 제도' 폐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퇴직 후 재취업 해 소득을 벌더라도 국민연금을 깎지 않기로 했다.
그간 국민연금 수급자가 일을 해 소득이 있을 경우 많게는 지급액의 50%를 깎는 감액 제도를 운영해왔는데 이를 폐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국민들의 수명이 길어지고 더 이상 국민연금만으로 노년을 보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감액 제도 때문에 '일하는 노인'이 손해를 본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퇴직 후 재취업 해 소득을 벌더라도 국민연금을 깎지 않기로 했다. 그간 국민연금 수급자가 일을 해 소득이 있을 경우 많게는 지급액의 50%를 깎는 감액 제도를 운영해왔는데 이를 폐지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27일 발표한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노령연금 수급자의 연금액을 감액하는 제도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현행 국민연금 제도에서는 퇴직 후 소득 활동을 하면 소득액에 비례해 노령연금을 깎아서 지급한다. 노령연금은 가입 기간이 10년을 넘겨 수급 연령에 도달했을 때 받는 일반적 형태의 국민연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국민연금은 가입자의 3년간 월평균 소득 이상을 벌면 연금액을 깎고 있다. 올해는 월 286만1091원이 기준으로, 이보다 많은 세후 소득을 벌면 노령연금이 깎이기 시작한다. 삭감의 상한선은 노령연금의 50%으로, 감액 기간은 최장 5년이다. 많게는 100만원 넘게 깎인다.
이 제도는 지난 1988년 특정인에게 과다한 소득이 가는 걸 막고 정부 재정을 안정화하기 위해 도입됐다. 하지만 국민들의 수명이 길어지고 더 이상 국민연금만으로 노년을 보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감액 제도 때문에 ‘일하는 노인’이 손해를 본다는 지적이 있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실이 국민연금공단에서 받은 '소득 활동에 따른 노령연금 적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연도별 감액자(삭감액)는 지난해 기준 12만7974명의 노령연금 수급자의 연금액 1906억2000만원이 삭감됐다. 나이가 들어서도 일을 해 돈을 번다는 이유로 받아야 할 연금을 못 받은 셈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년 만에 177만원→31만원 추락"…LG생건 개미들 어쩌나
- 문재인 "文정부 때 日 추월했는데…격차 거꾸로 벌어져 충격"
- "주사 맞고 체중 29kg 빠졌다"…주가 60% 폭등한 회사
- "전기차 가격 후려치기, 정말 잔인하다"…벤츠의 호소
- 계단에 정체불명 액체가…배달원이 노상방뇨?
- "남친 몰카용?"…남현희 속인 '가짜 임테기' 뭐길래
- '스타 셰프' 정창욱, '지인 폭행·위협' 2심서 감형 받았다
- "주인도 모르게 집 통째로 증발"…황당한 실수에 '눈물'
- "BTS? 성병 이름 같아"…아르헨 극우 부통령 후보, 과거 발언 논란
- 6세 딸 둔 옛 연인 살해한 30대 스토킹범…법정서 한 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