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한 디스플레이로 선명한 색상 본다… 양자점 LED 안정성 높였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투명한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했다.
곽정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진성훈 인천대 전자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능동 구동 양자점 발광다이오드(AM-QLED)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고 27일 밝혔다.
그중에서도 광원의 개별 픽셀을 직접 제어하는 능동 구동 방식의 AM-QLED는 투명하게 만들 수 있고, 구부러지거나 늘어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투명한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했다.
곽정훈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진성훈 인천대 전자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능동 구동 양자점 발광다이오드(AM-QLED)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았다고 27일 밝혔다.
QLED는 선명한 색상과 긴 수명은 물론 기존 기술로는 낼 수 없었던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QLED는 투명하게 만들 수 있고, 구부러지거나 늘어나도 성능을 유지해 활용도가 높은 기술로 꼽힌다.
그중에서도 광원의 개별 픽셀을 직접 제어하는 능동 구동 방식의 AM-QLED는 투명하게 만들 수 있고, 구부러지거나 늘어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다. 다만 현재까지는 비용과 안정성을 고려해 여러 픽셀을 통합해 제어하는 수동구동(PM) 방식의 QLED가 사용되고 있다. 반면 AM-QLED는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져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구진은 안정성이 높은 AM-QLED를 개발하기 위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박막 트랜지스터(SWNT TFT)’의 최적 구조를 제안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회로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SWNT TFT는 전기전도도와 투명도가 우수해 AM-QLED의 제작에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빛과 온도, 수분에 민감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연구진은 실리콘을 코팅해 안정성을 높이고 이를 적색 QLED 소자와 조합해 디스플레이를 만들었다.
그 결과 1000번 이상 늘린 이후에도 디스플레이 성능이 유지될 정도로 안정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00차례 이상 구부린 이후에도 전류 저항 변화가 8%를 넘지 않았다. 또 투명도 82%를 달성해 실제 환경과 가상 공간을 연결하는 증강현실(AR) 디스플레이에도 활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QLED를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이달 25일 소개됐다.
참고자료
Adanced Materials, DOI: https://doi.org/10.1155/2013/627215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0兆 전기차 공장 지었는데… 현대차, 美 시장에 드리워진 ‘먹구름’
- 日, 반도체·AI 분야에 90조원 지원 검토
- “바쁠 때는 ‘미터기’ 꺼놓고 일해요”… 주 52시간에 발목 잡힌 삼성 반도체
- 조선株, 트럼프 말고도 믿을 구석 있다… 韓中 계약금액 격차도 사상 최대
- 가상자산 황금기 오나… 트럼프 효과에 비트코인 10만달러 전망
- [르포] 전기차 하부 MRI하듯 안전 검사… 속도별 배터리 온도 체크하는 시험 현장
- [인터뷰] “韓 저출생 해소, 대통령보다 아이돌이 잘할 것”… 美 유명 경제학자의 아이디어
- “박사급 정예 인력인데 성과급 걱정”… 뒤숭숭한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직원들
- [르포] 인구 1억 기회의 땅 베트남, 한국 의료가 간다
- 출고도 안 했는데… 기아 EV3, 독일 자동차 어워드서 ‘4만유로 미만 최고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