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프레드, 리서치 발간…“빗썸 수수료 무료 정책, 장기적인 성장 동력 아냐”

서정화 2023. 10. 27. 10: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웹3 블록체인 컨설팅 업체 디스프레드의 리서치 전담 조직 '디스프레드 리서치'가 한국의 주요 4대 거래소의 데이터를 토대로 중앙화 거래소(CEX)와 가상자산 투자자의 성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7일 밝혔다.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최근 데이터를 활용해 특정 주제에 대한 인사이트를 전하기 위한 '데이터 인사이트' 시리즈를 시작했다. 그 첫 번째 주제로 '한국 중앙화 거래소'를 선정했다.

크립토 컴페어, 코인마켓캡, 아캄 등 데이터 제공업체의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일부 데이터는 디스프레드 리서치가 직접 가공해서 고유의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했다고 디스프레드 측은 설명했다.

자료=디스프레드

이번 보고서는 빗썸의 수수료 무료 정책이 효과가 있는지를 진단하고 업비트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가상자산은 무엇인지를 조명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우선 빗썸이 이달 4일 시행한 수수료 무료 정책은 단기적인 효과만 보인 것으로 분석했다. 정책 시행 직후 빗썸의 시장 점유율은 20%를 넘었으나 다시 하락세를 보이다가 결국 이전의 수준으로 회귀했다.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수수료 무료 정책이 장기적으로 거래소를 성장시킬 정책인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으며, 한국 투자자들이 거래소를 선택하는 기준이 수수료의 유무 여부에만 있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자료=디스프레드

디스프레드 리서치가 업비트 입출금 네트워크 트랜잭션 수를 분석한 결과, 업비트 이용자들이 해외 거래소에의 자금 이전 수단으로 국내 거래소를 활용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업비트 이용자들은 가상자산 전송 시 트론(TRX)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트론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수수료가 저렴한 데다 거래 처리 속도는 빠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용자들이 입출금 시 사용하는 네트워크 중 이더리움과 트론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수를 비교한 결과, 트론 네트워크가 65~80% 수준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데이터 제공업체 코인메트릭스(Coinmetrics)에 따르면, 트론 네트워크를 통한 테더(USDT) 트랜잭션 수는 일 200만 회에 달하는 반면,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통한 트랜잭션 수는 일 10만 회 수준에 그쳤다.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업비트 이용자들이 온체인 프로덕트를 이용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해외 중앙화 거래소로 가상자산을 보내기 위한 일종의 '환전소'로서 입출금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자료=디스프레드

업비트에서는 소위 '김치코인'들이 그들만의 시장을 형성한 반면, 메이저 코인의 거래 활성도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스팀 달러(SBD), 모스 코인(MOC), 히포크랏(HPO)은 거래량의 100%가 업비트에서만 발생했다. 이외 △센티넬 프로토콜(UPP) △아하토큰(AHT) △그로스톨코인(GRS) 등도 업비트에서만 주로 거래되고 있었다.

반대로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폴리곤(MATIC) 등 소위 '메이저 코인'들의 업비트 내 거래량 비중은 다른 글로벌 거래소에 비해 현저히 저조했다. 특히 이더리움의 글로벌 전체 거래량 가운데 업비트에서 발생한 거래량 비중은 0.3%에 불과했다.

자료=디스프레드

10월 셋째 주 기준 글로벌 시장과 비교했을 때 한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거래된 가상자산은 룸 네트워크($LOOM)로, 총 거래량 중 62%가 국내 거래소에서 발생했다.

룸 네트워크는 지난 9월 15일부터 한 달 동안 10배 넘게 폭등해 686원을 기록했으나, 10월 19일 140원으로 떨어진 후 보고서 작성 시점까지 그 가격 수준에 머물렀다.

디스프레드 리서치는 이처럼 급격한 가격 변동성이 고위험·고수익 추구 성향의 한국 투자자들을 매료시킨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임건우 데이터 애널리스트는 “이번 리포트는 한국 시장과 글로벌 시장과의 차이점, 그리고 한국 투자자들의 특성을 다뤘기에 한국에 진출하려고 하거나 한국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기업에게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며 “글로벌 가상자산 프로젝트들은 모든 국가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보다는 각 지역 특성을 이해하고 현지 상황에 맞는 GTM(Go-to-Market)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정화 기자 spurify@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