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1주기 추모 공간 마련…"안전의 공간 되길"

배성재 기자 2023. 10. 26. 20: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10월 29일 이태원 참사가 일어났던 곳에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됐습니다.

오랜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참사를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이 뒤늦게라도 생겨서 다행이다, 이런 말들을 했는데, 다만 아직까지는 미완성에 그치고 있다고 했습니다.

[이정민/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 기억과 애도에 더해 안전의 공간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고자 합니다. 앞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 필요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10월 29일 이태원 참사가 일어났던 곳에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됐습니다.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오늘(26일) 공개됐는데, 그 현장에 저희 취재 기자가 나가 있습니다.

배성재 기자, 먼저 그곳이 어떻게 조성되어 있는지부터 설명해 주시죠.

<기자>

사고가 났던 골목 입구입니다.

입구 앞쪽에는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이라는 표지 목이 새롭게 세워졌습니다.

아래쪽 바닥을 보시면 '우리에게는 아직 기억해야 할 이름들이 있습니다'라는 글귀가 새롭게 새겨진 걸 볼 수 있습니다.

길을 따라 올라가 보겠습니다.

이쪽에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남겨놨던 추모 메시지가 그대로 남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그 옆으로 해서 이렇게 전광판 3개가 새롭게 설치가 됐는데요.

여기에는 추모의 뜻을 담은 사진과 함께 희생자들의 국적이 다양했던 만큼 14개 나라 언어로 적힌 추모 문구가 담겨 있습니다. 

<앵커>

오늘 그 추모 공간에는 유족들도 많이 자리를 했을 텐데, 어떤 이야기를 하던가요? 

<기자>

유족들은 추모 공간이 공개되자 눈물을 보였습니다.

오랜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참사를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이 뒤늦게라도 생겨서 다행이다, 이런 말들을 했는데, 다만 아직까지는 미완성에 그치고 있다고 했습니다. 

어떤 내용이었는지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이정민/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 기억과 애도에 더해 안전의 공간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고자 합니다. 앞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진상규명이 필요합니다.]

유가족들은 참사 1주기 당일인 29일 저녁에 서울광장에서 시민추모대회를 예정하고 있습니다.

당초 허가가 나지 않아 야당과 공동 개최를 하려 했다가 서울시가 허가를 해주면서 정치권을 배제하고 유가족과 시민들이 주최하기로 바꿨습니다.

그런 만큼 윤석열 대통령의 참석도 요청했는데, 대통령실은 유족들에 대한 위로와 고인들에 대한 추모의 마음은 같다면서도 정치적 목적으로 재난을 정쟁화할 수 있다면서 참석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오늘 경찰 인사에서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이 유임돼서 유족들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남성, 영상편집 : 황지영)

▷ '고밀도 특별 관리' 대상 골목인데…아직도 곳곳 불법 증축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399352]

배성재 기자 ship@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기사의 타임톡 서비스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