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박근혜 앞에서 “92개국 정상에 ‘박정희 공부하라’ 강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지금 세계적인 복합 위기 상황에서 우리는 박정희 대통령의 정신과 위업을 다시 새기고, 이를 발판으로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진행된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제44주기 추도식' 추도사에서 "조국에 대한 사랑과 열정으로 산업화의 위업을 이룩한 박정희 대통령을 추모하는 이 자리에서 그분의 혜안과 결단과 용기를 배워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근혜 前대통령과 유족들에게 그동안 겪은 슬픔에 심심한 위로 드린다”
(시사저널=박성의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6일 "지금 세계적인 복합 위기 상황에서 우리는 박정희 대통령의 정신과 위업을 다시 새기고, 이를 발판으로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진행된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제44주기 추도식' 추도사에서 "조국에 대한 사랑과 열정으로 산업화의 위업을 이룩한 박정희 대통령을 추모하는 이 자리에서 그분의 혜안과 결단과 용기를 배워야 한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은 '하면 된다'는 기치로 국민을 하나로 모아 산업화를 강력히 추진했다. '한강의 기적'이라는 세계사적 위업을 이뤄냈다"며 "지금 우리는 박정희 대통령이 일궈 놓은 철강, 발전, 조선, 석유화학, 자동차, 반도체, 방위 산업으로 그간 번영을 누려왔다. 이 산업화는 우리나라 민주주의 발전의 튼튼한 기반이 됐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저는 취임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 92개국 정상을 만나 경제협력을 논의했다"며 "박정희 대통령이 이룬 압축성장을 모두 부러워하고, 위대한 지도자의 결단에 경의를 표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해외 정상들에게 "박정희 대통령을 공부하라, 그러면 귀국의 압축 성장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는 후일담도 소개했다.
윤 대통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우리 국민에 자신감과 자부심을 불어넣어 줬다며 "웅크리고 있는 우리 국민의 잠재력을 끄집어 내서 위대한 국민으로 단합시켰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자랑스러운 지도자를 추모하는 이 뜻깊은 자리에 영애인 박근혜 전 대통령과 유가족들에게 자녀로서 그동안 겪은 슬픔에 대해 심심한 위로 말씀을 드린다"는 인사로 추도사를 마무리했다.
한편, 1980년부터 매년 민족중흥회 주관으로 열려온 박정희 전 대통령 추도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 장녀인 박근혜 전 대통령도 추도식에 11년 만에 참석했다. 검정색 정장을 입은 윤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과 악수했으며, 박 전 대통령은 감사 인사를 전했다. 두 전‧현직 대통령은 나란히 앉아 추도식을 지켜봤다.
윤 대통령은 추도식이 끝난 뒤 박근혜 전 대통령과 함께 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했다. 윤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만난 것은 지난해 5월 대통령 취임식 이후 약 17개월 만이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0대女 초등학교 운동장 끌고가 성폭행…범인은 ‘중학생’ - 시사저널
- ‘유튜버 자살 잔혹사’ 자살 예고하고 생중계하는 유튜버들 - 시사저널
- ‘98만원’에 팔린 신생아, ‘300만원’에 되팔려…결국 버려졌다 - 시사저널
- 사귀던 직장동료 ‘성매매 강요·살해’ 20대…2심 ‘감형’ 이유는? - 시사저널
- 딸 친구 22차례 성폭행한 통학차량 기사, 2심도 징역 15년 - 시사저널
- ‘용돈 달라’며 母에 화염 스프레이 뿌린 30대…母는 선처 탄원했다 - 시사저널
- ‘국민주’ 카카오가 어쩌다…‘사법리스크’에 주주들 ‘비명’ - 시사저널
- ‘치매의 종말’ 시작됐다 - 시사저널
- “가을철 독감, 노인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 시사저널
- 뚱뚱해서 병원 찾는 환자 3만 명 시대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