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등세 집값 소강상태...서울 신고가 한자릿수로

2023. 10. 26. 11: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 들어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는 듯 했지만, '급매'가 나간 이후 매입 가격 부담이 커지며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이 한 자릿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만8665건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은 8.7% 수준이었다.

재작년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4만1986건 중 2만2087건으로 무려 52.6%에 달했고, 작년에는 1만2000건 중 3300건으로 27.5% 수준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전체 거래량의 8.7% 그쳐
주택 구매장벽 높아져 숨고르기
서울의 한 부동산에 매매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

올 들어 부동산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는 듯 했지만, ‘급매’가 나간 이후 매입 가격 부담이 커지며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이 한 자릿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특례보금자리론 대상 축소 등으로 매수심리가 다시 주춤해 부동산 시장 계절적 비수기가 이르게 찾아올 수 있단 전망도 나온다.

26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들어 10월 24일까지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는 2484건이었다. 같은 기간 전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2만8665건으로, 신고가 거래 비중은 8.7% 수준이었다. 최근 2년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수준이다. 재작년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은 4만1986건 중 2만2087건으로 무려 52.6%에 달했고, 작년에는 1만2000건 중 3300건으로 27.5% 수준이었다.

이는 그동안의 거래량 증가세가 급매 위주 거래에 치우쳤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전고점을 회복하는 단지도 늘며 아파트 매수 비용 부담이 커지자, 수요자들이 주택 매입에 신중해진 것이란 관측도 이어진다. 실제 부동산 매수심리 관련 지표는 증가세였지만, 과거 부동산 활황기와 비교하면 여전히 저조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32.85를 기록해 전월(32.64) 대비 0.21포인트 올랐다. 올해 1월(17.88)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올랐다. 그러나 2년 전인 2021년 9월(108.31)과 비교하면 3분의 1 토막 났다. 매수우위지수는 표본중개업소에 시장 동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해 조사 결과를 지수화한 통계다. 0~200 범위 이내에서 지수가 100을 초과할수록 ‘매수자 많음’을 의미하며, 100 미만일 경우 ‘매도자 많음’을 뜻한다.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금리 인상 사이클에 접어든 2021년 9월(108.31) 하락 전환, 2021년 10월(99.9)에 두자릿수로 떨어진 이후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9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매수우위지수는 36.55였다. 지방권의 5개 광역시는 22.81로 더 낮았다.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전체 수도권 및 지방 대비 높았지만, 서울 내 지역별 편차는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41.41를 기록했고, 이 중 강남 11개구(48.25)가 강북 14개구(33.82) 대비 14포인트 이상 높았다. 실제 아파트 거래량도 강남권 비중이 높았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계약일 기준 이달 25일까지 3327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강남권 11개구 거래량은 1723건, 강북권 14개구 거래량은 1604건이었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로 좁혀보면 581건으로, 전체의 17.5%를 차지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10월 들어선 확실히 체감상 거래가 줄고 있다”며 “우선 고점의 85~90% 수준까지 회복하는 지역이 나오며 연초보다 매입 가격 부담이 커졌고,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 특례보금자리론 대상 축소 등의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고은결 기자

ke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