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 감소에도 인플레 여전, 美 국채금리 어떻게 될까 [뒷북 글로벌]
미 재정적자 증가로 공급 늘며 국채금리 6% 돌파 의견도
시중 통화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이 높은 상황이 지속되면서 미국 국채금리의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계속되는 긴축 정책으로 경기 엔진이 식으며 내년 말에는 4.7%까지 떨어질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반면, 일각에서는 전쟁중인 우크라이나·이스라엘을 지원하느라 미국의 재정·국채부담이 늘어 국채금리가 6%를 돌파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24일(현지 시간) 발표된 9월 미국의 통화공급량(M2)은 20조 7549억 달러로 전년 대비 3.6% 감소했다. 전월보다도 1104억 달러(약 150조 원) 줄었다. 연준의 긴축정책 시행 이후 시중에 풀려있던 유동성이 흡수되면서 미국 내 통화량은 6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이 같은 통화량 감소율은 1930년대 대공황 이후 110년 만이다. 연준은 지난해 3월부터 올해까지 총 열한 차례에 걸쳐 0%였던 금리를 5.25%포인트 인상했다.
통화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소폭 완화했다.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CPI)는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하며 지난해 정점이던 9.1%보다 완화됐다. 물가 상승률이 소폭 둔화한 반면 지난달 일자리가 33만 6000개 증가하며 고용지표는 호조를 보였다. 이는 소비지출 증가로 이어졌고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올라가고 있다. 전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26일 미국의 3분기 GDP 발표를 앞두고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7%에서 4.0%로 상향했다.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3분기 GDP 전망치 역시 4.5%로 추산됐다. 2.1%였던 2분기 성장률을 생각하면 반등 폭이 크다.
다만 월가를 중심으로 미국 경제성장률이 3분기에 고점을 찍은 후 4분기부터 하락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반대 의견도 나온다. 연준의 목표치(2%)보다 여전히 물가가 높은 상황에서 고금리가 유지됨에 따라 대출이자 증가로 기업과 가계의 부담이 커지고 누적된 긴축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며 실물경제가 식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앞서 투자회사 퍼싱스퀘어의 빌 애크먼 회장은 “최근 경제지표가 보여주는 것보다 경제가 빠르게 둔화하고 있다”며 “장기국채금리 상승을 예상하고 진행했던 채권 공매도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채권 운용사 핌코(PIMCO)의 공동 창업자 빌 그로스도 “고금리로 미국 지역 은행들이 무너지고 있고 자동차대출 연체율도 역대 최고”라며 “올해 4분기에 경기 침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고금리에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줄고 늘어난 자금 조달 비용에 기업들의 신규 투자 및 대출 수요가 감소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해 미국 5대 대형 은행들이 올해 들어 총 2만 명의 직원을 정리해고했다. 또 이날 신용평가사 피치에 따르면 고금리로 지난달 미국 오토론(자동차 담보대출) 대출자 중 60일 이상 연체한 사람의 비율이 6.11%로 약 3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유동성 흡수 정책에 반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전쟁 등 지정학적 긴장에 따른 미국 정부 지출이 늘어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점도 경기 침체 전망에 힘을 싣는다. 연준이 금리 인상을 멈출 것이라는 의견이 많지만 높은 물가에 금리 인하 시작 시기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정부 부채는 2018년 이후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2018년 21조 5160억 달러였던 부채는 코로나 대응을 위해 2020년 26조 9450억 달러로 증가한 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인 2022년에는 30조 달러를 넘어섰다. 코로나 대응에 이어 팬데믹 이후 전쟁 발발로 꾸준히 군사비 지출이 늘어난 점이 재정적자의 원인으로 꼽힌다.
미국 군사 지출은 지난해 8769억 달러(약 1200조 원)를 기록했고 올해 3월 기준 백악관이 의회에 요청한 군사비 예산만 이미 8420억 달러에 달한다. 2023년 회계연도 기준 미 연방정부 재정적자는 GDP의 6.3%에 달하는 2290조 원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2024년에 미국의 재정적자가 GDP의 7.4% 수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정부의 재정적자가 늘어나면 이를 충당하기 위해 국채 발행이 증가할 수밖에 없고, 최대 매수자인 연준 등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국채 매입 규모를 줄이면 국채 공급만 늘어나 가격이 떨어지고 금리는 상승하게 된다.
엇갈리는 경제 전망에 국채금리 변동성은 커졌다.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가 전날 장중 한때 5.0%를 넘어서며 월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6% 돌파 가능성도 제기된 반면 일각에서는 경기 침체로 내년 말까지 4.7%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장중 4.825%로 마감했다.
백주연 기자 nice89@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마약 혐의' 이선균, 위약금 '100억' 될 수도? '후폭풍 굉장히 클 것'
- '재벌 3세' 예비신랑 루머 확산에…남현희 '허위사실 강력 대응'
- '춤추다 돌연 심장마비'…최소 10명 숨진 '인도 힌두축제' 무슨 일?
- 수도권서 휴대폰 훔쳐 1억 받은 일당 13명…경찰에 일망타진
- 또 2만명 깨졌다…8월 출생아도 ‘역대 최소’
- '푸틴, 심정지로 바닥에 쓰러진 채 발견'…또 터진 '위독설' 이번에는?
- 지하철 탑승하기 전에 화장 지우는 여성들…中 당국 조치라는데 왜?
- '다섯 아이 싱글맘' 유명 헬스 인플루언서 돌연 사망…'경찰 수사 중'
- “‘홍범도 빨갱이’라면서 어떻게 선거 이기냐” 비판 열 올린 이준석
- 양세형도 100억대 '건물주' 됐다…홍대 인근 5층 빌딩 매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