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어민이 신고한 ‘탈북 목선’… 느슨한 감시망 조여 빈틈 메우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 주민 4명이 탄 소형 목선이 24일 오전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속초 인근 해상으로 귀순하는 과정에서 우리 군과 해경보다 현지 어민이 먼저 발견해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군은 레이더와 열상감시장비(TOD)로 남하하는 물체를 포착하고도 1시간 40여 분 뒤 어민 신고가 들어올 때까지 추적 감시에만 머물렀고, 신고 10분 전에야 그것이 선박이라는 사실을 파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번 군의 대응이 어민 신고보다 늦었다는 점에서 해상 경계에 공백이 있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군 당국은 이미 오전 5시 반쯤 이상 물체를 탐지해 추적했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군은 레이더와 열상감시장비(TOD)로 남하하는 물체를 포착하고도 1시간 40여 분 뒤 어민 신고가 들어올 때까지 추적 감시에만 머물렀고, 신고 10분 전에야 그것이 선박이라는 사실을 파악했다. 앞서 군은 오전 4시쯤 NLL 일대 북한군 단속정의 특이 징후를 감지하고 함정과 초계기를 투입해 작전도 벌였다는데, 대체 무엇을 했다는 것인지 의문이다.
군 당국은 “특별히 놓친 것 없이 작전을 정상적으로 진행했다”며 ‘경계 실패’ 지적을 반박했다. 그러면서도 “NLL을 넘어오는 모든 표적을 다 포착 감시하고 싶지만, 공백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400km가 넘는 동해 NLL은 서해 NLL의 5배 길이에 달하는 데다 이번 귀순 목선은 2019년 삼척항 입항 목선보다도 작았기 때문에 탐지가 더 어려웠다는 것이다. 물론 감시장비와 가용전력에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대응 태세에 안이함이 없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차제에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동해의 경계와 작전 태세에 대한 근본적인 점검과 보완을 해야 한다. 무장한 북한군이 기습 침투해 내려왔다면 어떤 일이 벌어졌겠는가. 동해상 침투는 과거 북한군의 전형적인 도발 메뉴였다. 올해 들어 국내로 들어온 탈북민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주로 중국을 통한 입국이지만 앞으로 해상 탈북도 적지 않을 것이다. 그때마다 경계 실패 논란 속에 군의 신뢰를 의심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獨, 중증 환자만 대형병원 응급실 이송…韓, 환자 절반이 경증
- [김순덕 칼럼]정실인사도 부패다
- [단독]목선 귀순 北주민 “北체제 싫어 南 동경… 장기간 계획 세워 자유를 찾아서 왔다”
- [단독]25년 中거주 탈북민도… 中, 강제 북송 시켰다
- 검찰, ‘대선 허위보도 의혹’ 경향신문 기자 주거지 압수수색
- 남현희 스토킹 혐의 전청조 체포…이별통보에 남씨 모친 집 찾아가
- 인요한 “낙동강 세력은 뒷전 서야” 영남 의원들 “지역민심 짓밟나”
- [단독]野 공천평가에 ‘SNS 1000건 올려야 만점’… “강성정치 부추기나”
- 韓, 카타르서 6조 수출 계약… “중동 빅3에 106조 시장 만들어”
- 이태원 참사 1년… ‘주최자 없는 행사’ 안전 매뉴얼 아직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