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동정담] 녹색채권과 그린워싱
채권 시장에 녹색 바람이 불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이나 친환경 사업에 사용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녹색채권(Green bond) 발행이 늘고 있는 것. 글로벌 로펌 링크레이터스가 블룸버그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전 세계 녹색채권 발행액은 3510억달러(약 473조1129억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녹색채권 발행액은 2015년만 해도 500억달러(약 67조3950억원)에 불과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따르면 녹색채권을 포함한 지속가능채권 펀드가 전체 펀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말 10.6%에서 올 상반기 12%로 높아졌다.
녹색채권 발행이 늘어나면서 '그린워싱(Greenwashing)'에 대한 경계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린워싱은 환경에 도움이 되지 않거나, 오히려 악영향을 끼치면서도 광고 등을 통해 친환경 이미지를 내세우는 것을 말한다. 녹색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을 친환경과 무관한 곳에 사용하는 것도 그린워싱에 포함된다. 최근 그린피스는 녹색채권을 발행한 브라질 기업이 노예 노동으로 기소된 삼림 벌채 업자가 운영하는 회사에 자금을 지원한 사례를 밝혀냈고, 국내에서도 녹색채권 사용처에 대한 논란은 심심찮게 벌어진다.
그린워싱 감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은 환경단체뿐만이 아니다. 유럽연합(EU)은 지난 4일 세계 최초로 녹색채권 발행 기업에 대한 기준을 승인했다. 앞으로 EU에서 녹색채권을 발행하는 기업은 사용처를 공개해야 하며, 녹색채권으로 조달한 재원의 85%는 EU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한 '택소노미(Taxonomy·과세체계)'에 부합하는 활동에 써야 한다. EU는 이를 통해 녹색채권의 신뢰와 투명성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EU의 기준 제정이 녹색채권을 틈새시장에서 주류로 이동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ESG(환경·책임·투명경영)보다 재무적 요인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다시 돌아갈 것이라는 전망도 여전하지만, 지속가능경영을 요구하는 대세를 돌릴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이은아 논설위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최고 분양가 370억, 관리비도 수백만원…남현희 신혼집, 어디길래 - 매일경제
- “괜히 탔다, 내릴 때 짜증났다”…‘한국인 먼저’ 독일車 타보니 “돈이 웬수” [카슐랭] - 매
- “남현희 예비신랑 전청조는 여자”...사기전과 의혹까지 ‘충격’ - 매일경제
- 빈살만이 尹 태운 차 자세히보니…“작년 한국올때 가져온 그 벤츠” - 매일경제
- 만취한 여직원 몸에 올라탄 대표…성행위 시도하다 결국 - 매일경제
- [단독] 국민연금도 영풍제지에 물렸다…“내 노후자금이 작전주에 당했다니” - 매일경제
- 이선균 외 ‘마약 혐의’ 유명 연예인 추가 입건 - 매일경제
- 아시아 2위 부자였는데… 6년 만에 재산 98% 증발 ‘무슨 일’ - 매일경제
- ‘연 9% 금리·290만명 가입’ 청년희망적금, 4명중 1명 해지했다는데 왜? - 매일경제
- AG은 안 되고 APBC는 된다? 이의리 발탁 논란…근본적 문제는 선수 향한 예의와 존중, 염치불고 - M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