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헌의 바깥길] ‘건방져진 노동자들’이라는 그들의 오랜 믿음

한겨레 2023. 10. 25. 07: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상헌의 바깥길]‘건방진 노동자’에 대한 걱정은 사실 그 역사가 깊고도 면면하다. 산업혁명 초기 노동자들은 공장에서 ‘정상적’ 생산성에 도달하기 위해 시간 개념을 배우고 글자와 산수를 익혔다. 당연히 국가와 기업도 교육과 훈련 투자에 적극적이었는데, 딱 그만큼이었다. 당시 산업자본가들은 노동생산성 확보에 필요한 것 이상의 교육에는 반대했다.
1980년대 시장근본주의적 정책을 밀어붙인 영국 대처 정부 수뇌부 가운데는 노동자들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실업률 상승을 당연시하고 반긴 이들도 있었다. 사진은 1984년 3월27일 영국 워릭셔 도 밀 탄광에서 쟁의에 나섰다가 경찰에 진압당하는 광부들. EPA 연합뉴스

이상헌 | 국제노동기구(ILO) 고용정책국장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는 1980년대 영국의 총리 시절 공격적이고 문제적이었다. 물가안정을 위해 모든 것을 불사했다. 민영화와 자유화를 핵심 깃발로 삼았고, 그 깃발 뒤로 대량실업과 임금정체라는 큰 그늘이 뒤따랐다. 그런데 정작 물가안정조차 쉽지 않았다. 결국 물가가 8% 이상으로 올랐던 1990년 그녀는 영원할 것 같았던 총리 자리에서 물러난다. 그러자 온갖 뒷말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왔다. 말실수인 것처럼 은근히 비밀을 공개하는 사람도 많았다. 대처 정부 초기 경제고문을 맡았던 앨런 버드도 그 도도한 폭로 대열에 함께했다.

어느 인터뷰에서 사달이 났다. 대처 정부가 거칠게 몰아붙인 시장근본주의적 정책이 효과가 있을 거라고 정말 믿었냐고 따지는 질문에 그는 넌지시 고백한다. 사실, 대처 정부에는 그런 정책들이 물가안정과 경제성장을 이루는 옳은 방식이라고 믿지 않으면서도 억지로 몰아붙이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들은 그렇게 하는 것이 “실업을 늘릴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이며 실업 확대는 노동계급의 힘을 약화시키는 너무나도 좋은 방법”이라고 봤다는 말이었다.

그런데 이런 폭탄 발언에 정치적 대중적 반응은 그다지 폭발적이지 않았다. 대부분 그렇겠거니 하는 분위기였다. 그에 한달 앞서 재무장관 노먼 러몬트는 의회에서 이자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잡히지 않고 수백만명이 실업자 신세라며 따지는 야당 의원에게 이렇게 말했다. “실업 증가와 경기침체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우리가 지불해야 할 비용이었다. 그리고 이 정도 비용은 마땅히 치러야 한다.”

새삼 이 얘기가 떠오른 것은 얼마 전 온라인을 시끄럽게 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억만장자 최고경영자(CEO) 팀 거너의 ‘설화’ 때문이었다. 디지털 시대 생산성 침체 해결 방안을 논하는 포럼에서 그는 너무나 ‘솔직’했다. 코로나 역병을 겪었던 지난 몇년 동안 노동자들이 일을 적게 했는데 돈을 너무 많이 줬으니, 생산성이 떨어지는 건 당연한 것 아니냐고 되물었다. 또 노동자가 일자리를 준 고용주에게 고맙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주가 노동자에게 고마워해야 하는 풍토가 생겼다고 했다. 이걸 근본적으로 바꾸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현재의 실업자 숫자를 40~50% 정도 올리는 것이고, 그런 고통이 있어야 노동자의 ‘태도’가 바뀐다고 단언했다. 지금 기업이 대량해고를 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했다. 그리고 역사에 빛날 어록을 남긴다. “그래야만 노동시장에서 건방짐(arrogance)이 사라진다.”

‘건방진 노동자’에 대한 걱정은 사실 그 역사가 깊고도 면면하다. 산업혁명 초기 노동자들은 공장에서 ‘정상적’ 생산성에 도달하기 위해 시간 개념을 배우고 글자와 산수를 익혔다. 당연히 국가와 기업도 교육과 훈련 투자에 적극적이었는데, 딱 그만큼이었다. 당시 산업자본가들은 노동생산성 확보에 필요한 것 이상의 교육에는 반대했다. 노동자들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배우면 불만이 많아지고 건방지게 되며 정치사회적 목소리도 높이게 되는데, 그건 건방짐과 생산성 하락으로 연결되기 때문이었다. 다들 내놓고 얘기하지 못했지만, 더러 다혈질인 산업자본가들이 남긴 ‘솔직한’ 발언은 그 시절 역사의 한 풍경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 이후에도 ‘필요한’ 만큼의 교육과 훈련은 끊임없이 변화해왔다. 생산기술이 복잡해지고 고도화하면서 노동자의 교육 수준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걱정과 불평이 나오다가도, 교육 덕분에 노동자가 힘을 키워나가면 자칫 “건방짐”이 생길까 봐 전전긍긍하기도 했다. 때로는 새로운 기술과 기계가 이 문제를 마법처럼 해결해주기도 했다. 그러다가 긴 시간이 지나지도 않았는데 바람은 정반대로 불곤 했다. 교육 및 숙련의 내용과 수준이 최신 기술이나 노동 수요에 뒤처진다며 대대적인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고, 새로운 직장을 찾거나 지금 일자리를 지키려면 노동자들은 임금투쟁이 아니라 학습투쟁에 나서야 할 것이라는 경고가 터져 나왔다. 노동자에 대한 ‘계급투쟁’을 공공연히 선언했던 대처가 물러난 뒤 전세계적으로 컴퓨터 열풍이 불었다. 컴퓨터 지식이 마치 일터에서의 삶과 죽음을 결정할 듯한 기세였다.

오늘날 디지털세대도 다르지 않다. 지난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세계미래위원회는 다시 한번 숙련 문제를 따졌다. 이번에는 챗지피티(ChatGPT) 시대의 숙련. 인공지능(AI)이 회오리 돌풍처럼 휘젓고 다니는 세상에서 노동자가 살아갈 방법은 숙련 향상뿐이라는 것이다. 물론 새삼스럽지는 않다. 지난 10여년간 이 위원회는 ‘노동자 생존을 위한 역량 목록’을 부지런히 업데이트해왔다. 처음에는 디지털 관련 숙련을 보태더니, 최근에는 팀원이나 고객과의 관계도 효율적으로 잘 풀어나가는 사회적 역량, 소프트 스킬까지 포함했다. 어떤 언어로든 말 잘하고 잘 듣는 능력이 있어야 하고, 덧붙여 남의 처지에 공감하는 능력도 배워야 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그 목록에 하나가 더 추가되었다. ‘창조적’ 능력. 이제 웬만한 건 인공지능류의 기술이 다 알아서 하기에 인간이 경쟁력을 가진 분야는 창조성뿐이니, 이제 노동자는 창조적으로 되는 법을 배워야 한단다.

예전보다 못한 것도 있다. 교육하고 훈련할 목록은 이렇게 늘어나는데, 기업이나 사회가 나서서 도와준다는 말만 무성하고 실제 투자는 오히려 쪼그라들고 있다. 말의 방향과 돈의 방향이 다르다. 세계적으로 정부의 관련 예산을 봐도 그렇고 기업 상황도 다르지 않다. 훈련과 교육의 수고는 피하면서 다른 기업에서 경력 노동자들을 데려오는 일이 늘었다. 그러다 보니, 모든 게 노동자 개인 책임이 되고 있다. 불확실한 노동시장에서 유일한 생존해법은 ‘평생학습’이라고 정부와 기업이 한목소리로 외치지만 노동자들의 반응은 미지근할 수밖에 없다.

그나저나 내년쯤 되면 ‘노동자 생존을 위한 역량 목록’에 새로운 것 하나 추가되겠다. 배우되 건방져지지 않는 법, 또는 착해지는 법. 디지털 시대 노동자의 ‘학습투쟁’은 유독 고단하고 외롭다. 노동자 ‘노릇’도 참 힘들다.

국제노동기구(ILO) 고용정책국장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