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비정규직 142만명 역대 최대… 단기취업자 비중도 급증
엔데믹후 고용률 역대 최고 견인
정규-비정규 임금격차 167만원
6년 연속 역대 최대치 갈아치워
● 늘어나는 20, 30대 비정규직
한국은행이 24일 내놓은 ‘BOK 이슈노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기준 단기 취업자 비중은 23.2%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이전인 2019년(19.8%)보다 3.4%포인트 상승했다. 2020년 2분기(4∼6월)부터 올 2분기까지 3년간 고용률은 3.2%포인트 높아졌는데, 단기 취업자가 늘어나면서 전체 고용률을 끌어올린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주당 근무시간이 1.8시간 감소하면서 순증된 취업자 수만 93만 명으로 추정됐다. 일자리 자체가 늘었다기보단 근무시간이 줄면서 일자리 나눠 먹기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보고서는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면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등 근로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선호하는 현상도 있었지만 정부의 직접 일자리 사업이 고령층이나 단시간 근로 위주로 몰린 영향도 컸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20, 30대 비정규직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근로 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8월 20대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1년 전보다 9000명 늘어난 142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사상 최대 규모다. 20대 비정규직 수는 코로나19 고용 한파가 덮친 2021년 처음으로 140만 명을 넘겼는데 엔데믹 이후에도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20대 청년들이 사회에 첫발을 내디딜 때부터 불안한 신분으로 고용시장에 진입하는 셈이다.
30대 비정규직 근로자 수(98만9000명)도 1년 전보다 6000명 늘어나며 4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40, 50대를 중심으로 비정규직 수가 줄면서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812만2000명으로 3년 만에 감소(―3만4000명)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20대에서는 시간제 근로자가 많이 늘었고 30대에서는 기간제 등 한시적 근로자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 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 ‘167만 원’
정부는 ‘워라밸’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시간제 일자리를 원하는 근로자가 많아지고 있는 만큼 시간제 근로자 증가를 고용의 질 악화로만 볼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시간제 근로자가 전반적으로 느는 추세인 가운데 고용 안정성이 확보된 시간제 일자리도 늘어나고 있다. 다만 시간제 근로자의 임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비해 개선돼야 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소설희 기자 facthee@donga.com
이동훈 기자 dhlee@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日, 표류환자 받을 때까지 모든 병원에 경보
- [단독]與 총선기획단-영입위 내주 발족… 혁신위와 공천 주도권 경쟁할듯
- 여야 “회의장내 고성야유-피켓시위 말자” 신사협정
- ‘카뱅’ 지배구조 정조준… “카카오 처벌 적극 검토”
- 尹숙소 찾은 빈 살만, 예정없던 환담-직접 운전
- 원외 친명, 비명 지역구에 ‘자객 출마’ 잇단 도전장
- 20대 비정규직 142만명 역대 최대… 단기취업자 비중도 급증
- 대학 캠퍼스 곳곳 마약광고… QR코드→텔레그램방 접속 유도
- [횡설수설/서정보]애물단지 된 교육청의 무상 보급 태블릿PC
- “조두순 같은 성범죄자 거주지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