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제시카법’ 우려에 “입이 쩍 벌어지는 나쁜놈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법무부가 고위험 성범죄자들의 출소 후 주거지를 특정 지정시설로 제한할 수 있게 하는 '한국형 제시카법' 입법예고안을 발표한 가운데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일각의 '이중 처벌' 우려에 대해 "입이 쩍 벌어지는 나쁜놈들"에게만 국한된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전자의 경우) 대한민국의 산지, 좁은 국토, 인구밀집도 등을 감안할 때 고위험 성범죄자가 살 수 있는 지역이 특정되게 된다"면서 "거주 제한의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국가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국가 등이 운영하는 시설로 거주지를 지정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범죄자 거주시설’ 주민 반발 우려엔 “열린 마음으로 의견 청취”
(시사저널=박선우 디지털팀 기자)
법무부가 고위험 성범죄자들의 출소 후 주거지를 특정 지정시설로 제한할 수 있게 하는 '한국형 제시카법' 입법예고안을 발표한 가운데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일각의 '이중 처벌' 우려에 대해 "입이 쩍 벌어지는 나쁜놈들"에게만 국한된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24일 경기 과천 법무부 기자회견을 통해 "조두순, 김근식, 박병화 등 아동을 대상으로 한 상습·약탈적 끔찍한 성범죄자들이 출소할 때마다 국민들께서 우려하셨다"면서 "죗값이 온당하다고는 생각지 않지만, 이런 약탈적 성범죄자들이 매년 60명씩 출소하게 된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법안의 적용 대상이 될 고위험 성범죄자들에 대해 "이정도 사람들의 (재판) 선고 내용을 분석해보면 입이 쩍 벌어지는 나쁜 놈들이다. 구치소에서 10년, 15년 있었다고 달라질까 우려되는 사람들"이라면서 "다툼에서 나오는 성폭력 사건의 정도와는 다른 약탈적인, 발바리 같은 류의 사람들에게 한정할 거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이중처벌' 관련 우려를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앞서 법무부가 고위험 성범죄자의 거주지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고려한 선택지는 크게 두 가지다. 학교, 유치원 등 특정 시설들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 거주를 금하는 방법과, 특정 장소에서 거주하도록 제한하는 방법이다. 한 장관은 "(전자의 경우) 대한민국의 산지, 좁은 국토, 인구밀집도 등을 감안할 때 고위험 성범죄자가 살 수 있는 지역이 특정되게 된다"면서 "거주 제한의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국가의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국가 등이 운영하는 시설로 거주지를 지정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한 장관은 고위험 성범죄자들이 거주하게 될 지정시설 인근 주민들의 반발 문제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한 장관은 관련 질문에 "굉장히 어려운 일인 것은 분명하다"면서 "이 논의가 굉장히 필요하고 건설적인 논의라고 생각한다. 최선이라고 판단한 안을 드리는 것이고, 입법 과정에서 열린 마음으로 의견을 들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한편 법무부는 이날 '고위험 성폭력 범죄자의 거주지 제한 등에 관한 법률' 제정안과 '성폭력 범죄자의 성충동 약물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오는 26일부터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고위험 성범죄자의 출소 후 거주지를 국가 지정시설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현재 검사 재량인 고위험 성범죄자 대상 성충동 약물치료 진단·청구를 의무화하는 게 골자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0대女 초등학교 운동장 끌고가 성폭행…범인은 ‘중학생’ - 시사저널
- ‘유튜버 자살 잔혹사’ 자살 예고하고 생중계하는 유튜버들 - 시사저널
- ‘98만원’에 팔린 신생아, ‘300만원’에 되팔려…결국 버려졌다 - 시사저널
- 사귀던 직장동료 ‘성매매 강요·살해’ 20대…2심 ‘감형’ 이유는? - 시사저널
- 딸 친구 22차례 성폭행한 통학차량 기사, 2심도 징역 15년 - 시사저널
- ‘용돈 달라’며 母에 화염 스프레이 뿌린 30대…母는 선처 탄원했다 - 시사저널
- ‘국민주’ 카카오가 어쩌다…‘사법리스크’에 주주들 ‘비명’ - 시사저널
- ‘치매의 종말’ 시작됐다 - 시사저널
- “가을철 독감, 노인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 시사저널
- 뚱뚱해서 병원 찾는 환자 3만 명 시대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