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고용 호조’ 이면엔 ‘생산성 둔화’ 우려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경기회복 과정에서 실업률이 크게 낮아지는 고용 호조 현상이 한국을 비롯한 주요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대면 서비스업의 빠른 회복, 근로조건 유연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결과인데 상대적으로 노동생산성 증가세는 둔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이 24일 발표한 ‘팬데믹과 실업률 하락(Job-rich recovery)’ 보고서를 보면 과거 경기 회복기에 주로 ‘고용 없는 성장’이 나타난 반면, 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기에는 고용률이 빠르게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보고서는 과거 4차례 경기 회복기에 고용률이 3년간 0.5%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지만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에는 3.2%포인트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노동시장의 강한 회복세는 긴축적인 통화정책, 부진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처럼 고용이 늘어나고 실업률이 하락한 원인으로 대면 서비스업의 빠른 회복, 근로 시간의 감소, 근로조건 유연화 및 사회적 통념 변화, 노동 비축 등 네 가지를 꼽았다.
먼저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로 큰 타격을 받은 대면 서비스업이 방역 대책 해제 이후 빠르게 살아나면서 노동시장 회복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면서비스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학력이나 기술 요건이 상대적으로 낮아 빈 일자리를 채우기가 용이했기 때문이다.
또 코로나19 사태 이후 취업자 수는 크게 늘었지만, 근로시간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런 변화는 결과적으로 취업자 수를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근로 시간 감소로 인한 취업자 수 증가 효과는 93만명으로 추정됐다.
근로시간이 줄어든 것은 ‘워라밸’에 대한 선호,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 정부 직접 일자리 정책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2020년 1분기부터 올 2분기까지 근로시간 감소로 인하 취업자수가 늘어난 효과는 93만명 수준으로 추정된다.
또 근로조건 유연화 및 사회적 통념 변화도 가속화하고 있다. 실제 코로나 발생 이전인 2019년 기혼 여성의 유연근무제 활용 비중이 14.4%에 그쳤으나, 2021∼2022년에는 20%를 웃돌았다. 여성 고용률과 경제 활동 참가율은 코로나 발생 이전보다 각각 1.7%포인트, 1.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고서는 고용 재조정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한 채 노동시장이 빠르게 회복한 것은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고용 재조정은 경기 침체를 거치면서 생산성이 낮은 산업에서 생산성이 높은 산업으로 고용이 이동하고 노동생산성이 나아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보고서는 “최근 여성을 중심으로 노동공급 기반이 확대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면서 “다만 산업 간 고용 재조정이 활발하지 못했던 점은 앞으로도 노동생산성 향상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