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울릉도는 하나의 권역… 삼국시대부터 “우리 고유 영토” 기록
안용복 17세기 말 독도분쟁 승리 이끌어
오늘날 독도 영유권 국제적 판단 근거로
고종 때 강원도 27번째 지방관제로 편입
日, 구한말 독도 군사적 가치에 불법 침탈
美군정 시절 폭격연습구역 사용 시련도
울릉도 주민 독도의용수비대 수호 큰 몫
대한민국 주권 미치는 실효적 지배 강화
독도 경비대원 상주… 주민등록 30명 달해
“국제 판례에 따르면 무인도의 경우 이웃하는 큰 섬과의 관계가 중요합니다. 존 반다이크 하와이대 교수는 ‘울릉도와 독도의 밀접한 물리적, 역사적 연관성이 한국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뒷받침한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10월25일은 ‘독도의 날’이다. 지난 18∼21일 독도와 울릉도의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 독도박물관, 안용복기념관, 일제의 해저케이블 육양장 그리고 나리분지와 죽도 등을 둘러봤다.
◆정책 변화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정책의 변화는 우산국 복속, 군신 관계 형성, 고려 영토로 정착, 쇄환정책 시행, 울릉도쟁계 발생, 수토정책 시행, 울릉도 개척령, 울도군 설군, 일본의 독도 침탈, 해방 후 영유권 강화, 실효적 지배 정책으로 구분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512년 우산국이 한반도 역사에 편입돼 우리 고유의 영토가 됐다. 고려 왕조가 들어서자 우산국 지배자로 추정되는 백길과 토두가 찾아와 방물을 바치고 관직을 받으며 군신 관계를 맺었다. 대몽항쟁 기간에는 고려 주민들이 울릉도로 이주했고, 원 간섭기에는 울릉도가 원에 목재를 바치기 위한 대규모 벌목장이 되기도 했다.
장한상의 보고를 받은 숙종은 ‘수토정책’을 시행한다. 울릉도에 조선민들의 출입을 금하고, 수토사를 보내 불법 침입한 일본인들을 추방하는 것이다. 그러나 2∼3년 주기로 시행된 탓에 일본인들의 울릉도 수탈을 근절하기 어려웠다.
1882년 영의정 홍순목은 울릉도를 수토하고 돌아온 이규원의 보고를 바탕으로 고종에게 울릉도 개척을 건의한다. 이주하는 주민은 5년간 세금을 면해 주고 선박 건조를 승인했다. 재개척을 통해 울릉도는 조선인들이 사는 섬으로, 독도는 조선인들의 삶의 터전으로 변화했다.
러일전쟁 해전에서 일본이 이긴 것은 울릉도와 독도에 설치한 망루의 역할이 컸다. 일본 해군성은 독도의 군사적 가치를 일찍 알았다. 일본 어업인 나카이 요자부로는 1903년 독도에 침입해 강치를 불법 포획했다. 당시 강치 1마리 가격이 황소 10마리와 같았다.
일본 해군성 수로부장 기모쓰키 가네유키는 나카이를 이용해 독도 탈취 계획을 세웠다. ‘독도가 조선 영토라는 확증이 없으며 무주지에 가깝고, 독도에서 강치를 포획한 것은 무주지를 점령한 것’이므로 나카이에게 대한제국에 독도이용권 청원을 하지 말고 일본 정부에 독도 편입 청원을 하길 종용했다.
나카이는 일본 내무성의 반대에 부딪히자 외무성을 찾아갔다. 그의 청원은 총리대신부로 넘어갔는데 당시 가쓰라 다로 총리대신은 러일전쟁을 도발한 인물이었다. 해당 안건은 1905년 1월28일 내각회의를 통과했다.
일본 패망으로 해방을 맞았지만 곧장 자주권을 찾은 것은 아니다. 한국은 1945년 9월9일부터 1948년 8월15일까지 미24군단의 군정 통치를 받았다.
일본에 주둔하고 있던 미국 극동공군사령부 B-29 폭격기 9대가 1948년 6월8일 독도를 폭격했다. ‘독도폭격사건’이다. 수많은 어선이 파괴되고 수십명의 어민이 사망, 실종됐다. 미군은 사건을 은폐하기에 급급했다. 2차 폭격은 1952년 9월15일 발생했다. 해녀 14명과 선원 9명이 전복과 해삼을 채취하고 있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그해 12월에야 미국은 독도를 더 이상 미군 폭격연습구역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통보해 왔다.
◆독도의용수비대
독도경비대는 1957년부터 현지 경비 업무를 해 오고 있다. 독도에 대한민국 국민들의 주권이 행사되고 국가 통치권이 미칠 수 있도록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이에 힘입어 어민들의 어장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독도의 초기 정착 기반을 닦은 이는 최종덕이다. 독도에서 어업을 시작한 그는 1965년 독도의 유일한 식수원 물골에 움막을 지어 살기 시작했다. 1967년에는 현재 서도주민숙소가 있는 자리로 옮겨 토담집을 짓고 생활했다. 제주도 해녀들을 불러들여 독도를 나잠어업의 중심지로 키웠다. 잡는 어업이 아니라 기르는 어업을 시도해 독도에서 전복배양법을 성공시켰다. 1980년대 들어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심화하자 1981년 10월14일 아예 주민등록을 독도로 옮겨 최초의 독도 주민이 되었다. 1987년 사망하기 전까지 독도에서 살았다.
현재 독도에는 경비대원 외에도 등대관리원, 소방대원, 울릉군청 직원 등이 거주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30명이 독도 주민으로 등록한 상태다. 8만603명이 명예주민증을 발급받았다.
울릉도·독도=김신성 선임기자 sskim65@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개월 시한부' 암투병 고백한 오은영의 대장암...원인과 예방법은? [건강+]
- “내 성별은 이제 여자” 女 탈의실도 맘대로 이용… 괜찮을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속도위반 1만9651번+신호위반 1236번… ‘과태료 전국 1위’는 얼마 낼까 [수민이가 궁금해요]
- '발열·오한·근육통' 감기 아니었네… 일주일만에 459명 당한 '이 병' 확산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女스태프 성폭행’ 강지환, 항소심 판결 뒤집혔다…“前소속사에 35억 지급하라”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