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그루밍족’을 엿보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살이 파이는 고통도 인내하며 망건을 꽉 조인다.
조선의 '그루밍족'들이 멋을 부린 방식이다.
3부에서는 조선만의 풍습으로 남아 있는 구슬갓끈과 선조(1567~1608)대 이후 사라진 남자 귀걸이를 비롯해 안경, 단추 등 멋과 실용을 겸비한 장신구를 조명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살 파이게 꽉 조인 망건·귀걸이 등
조선 남성의 다양한 장신구 전시
살이 파이는 고통도 인내하며 망건을 꽉 조인다. 영롱한 구슬로 엮인 갓끈을 늘어뜨려 멋을 낸다. 조선의 ‘그루밍족’들이 멋을 부린 방식이다. 격식에 맞는 의복을 차려입고 마음가짐과 자세를 바로 갖추려 한 조선 남성들의 꾸밈에 대한 철학, 미의식을 장신구로 짚어 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24일부터 내년 2월 25일까지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에서 열리는 ‘조선비쥬얼’전이다. 기존 관련 전시가 대부분 여성 장신구를 주제로 다뤄 온 것과 대조적으로 남성 장신구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드문 기회다.
4부로 나뉜 전시에는 국가민속문화재인 능창대군 망건과 영친왕 망건을 비롯해 남자 귀걸이, 부채, 선추 등 100여점이 나온다. 1부는 갓을 포함해 머리부터 발끝까지 남성들의 대표 장식품을 선보이며 전시의 전체 구성을 소개한다. 2부에서는 의관정제의 기본인 상투와 망건에 사용되는 장식인 동곳, 관자, 망건 풍잠 등 다양한 머리 장식품이 두루 등장한다. 3부에서는 조선만의 풍습으로 남아 있는 구슬갓끈과 선조(1567~1608)대 이후 사라진 남자 귀걸이를 비롯해 안경, 단추 등 멋과 실용을 겸비한 장신구를 조명한다. 4부에서는 보존 처리를 마치고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김시묵 초상화’, ‘허전 초상화’ 등 초상화 속 인물을 통해 관리의 옷인 관복과 학자의 옷인 심의를 살펴볼 수 있다.
김필국 실학박물관장은 “조선 실학자들은 청과 일본 등을 왕래하며 옷고름 대신 서양의 단추를 달아 편안한 복식을 제안하는 등 유행을 선도했다”며 “조선의 남성들이 신분과 기호에 따라 뽐냈던 다양한 장신구로 우리 민족의 풍류와 멋을 느껴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액상대마’ 권하는 수상한 카드…홍익대 이어 건국대서도 발견
- ‘땅콩 검객’ 남현희, 15살 연하 ‘재벌 3세’ 전청조와 재혼
- 황정음 “인생 가장 큰 후회는 결혼”…두 아들 최초 공개
- 2년만에 잡힌 ‘노부부 살인’ 용의자…메이저리그 투수였다
- 순천 아랫시장 공터서 분신해 숨진 70대, 윷놀이 하다 돈 잃고 참극
- ‘기생충’ 촬영 전 사고 칠 뻔한 이선균…전혜진이 막았다
- 기사는 숨진 채, 택시는 공항서 발견…승객 용의자 태국서 검거
- “내 자신 혐오스럽다” 성시경, 뉴스룸서 예상 못한 발언
- “고시원서 빈대 나왔어요”… 전국 확산하는 ‘빈대 공포’
- “내가 남편을 찔렀다” 만취상태서 살해 후 119에 전화한 5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