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작은 물길을 일상 휴식공간으로” 서울시, 수변공간 활성화 방안 모색

이성희 기자 2023. 10. 23. 15: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3~24일 ‘워터서울·도시정책 국제 컨퍼런스’
오세훈 “수변공간, 무한한 성장 동력”
부완 타파 미국 애팔래치안 주립대 교수가 23일 서울시 상수도본부에서 열린 ‘2023 워터서울·도시정책 국제 컨퍼런스’에서 ‘자연기반해법(NbS)을 통한 수변공간 개발 및 도시활성화 사례’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인공폭포로 유명한 서울 서대문구 홍제천 수변테라스 카페는 지난 3월 개장해 월 평균 2만1000여명이 이용했다. 단순 방문자 수는 매달 5만여명에 이른다. 인공폭포야 2011년부터 있었지만,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가득 메울 만큼 핫플레이스로 떠오른 데는 수변테라스 카페의 역할이 컸다.

국내 1호 수변 노천카페인 이 곳은 소하천과 실개천 등 서울 전역을 ‘수(水)세권’으로 재편하는 사업 중 하나로 조성됐다. 서울시는 동네 작은 물길을 일상생활에서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바꾸는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서울시가 23~24일 국내외 전문가들과 함께 서울 전역의 수변공간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2023 워터서울·도시정책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것은 같은 맥락이다. 수변공간은 도시 경쟁력과 직결되는 문제라는 판단에서다. 관심 밖에 있던 도심의 수변을 시민들이 휴식과 문화 등 여가를 즐기고 머물고 싶어하는 공간으로 만들면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컨퍼런스 주제는 ‘감성의 중심, 여유공간 수변’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는 한강을 포함해 25개 자치구를 따라 흐르는 332㎞ 물길이 있다. 이 물길을 통해 개발할 수 있는 수세권이 284㎢으로 서울시 면적(605.2㎢)의 46.5%에 달하는 규모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개회사를 통해 “서울은 매력적인 한강이 가로지르고 소하천과 실개천이 흐르는 도시”라며 “서울 전역을 흐르는 332㎞ 수변공간은 시민 일상과 연결되는 무한한 성장 동력”이라고 말했다.

인공폭포로 유명한 서울 서대문구 홍제천 수변테라스 카페. |서울시 제공

첫날 컨퍼런스는 부완 타파 미국 애팔래치안 주립대 교수의 ‘자연기반해법(NbS)을 통한 수변공간 개발 및 도시활성화 사례’ 강연으로 시작했다. 자연기반해법은 습지 복원 등을 통해 대기 중 온실가스를 줄여 지구온난화 위험을 낮추는 개념이다.

타파 교수는 콘크리트 하천과 넓은 식생지역이 있는 하천 사진을 보여주며 “어느 인프라가 홍수를 예방하는 데 더 효과적이겠는가”라고 물었다. 이어 “풀이 있는 경우가 (홍수 시) 물 흐름 속도를 늦추고 더 많은 물을 잡아둔다”며 “지천의 자연과 생태기능 회복과 같은 자연기반 해법은 공해와 치수, 정신 건강 등 우리에게 많은 혜택을 준다”고 말했다.

타파 교수는 미국 시카고 리버워크 등을 좋은 사례로 소개했다. 그는 “원래 콘크리트가 많은 도심 상업지역인데 그린루프(옥상 녹화)도 만들고 환경적 보전을 할 수 있는 인프라로 강 산책길과 운하를 개발한 곳”이라며 “투자금을 1~2년만에 회수했을 만큼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지역경제에도 기여했다”고 말했다.

타파 교수는 이처럼 수변공간이 자연기반해법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나무·공원 등 자연에 대한 목록화, 기상이변 시 물 저장·관리 능력 향상, 다기능 공간으로의 활용, 공간 접근성과 식물다양성, 민·관 협업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서울시 수변활력거점 조성사업’ 발제자로 나선 강현석 (주)SGHS설계회사 건축사사무소 소장은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을 “치수 공간 중심이었던 공을 일상의 향유 공간으로 만드는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서울 전역에 수변활력거점 27곳을 조성 중으로, 하천과 지역특성에 따라 4개 사업으로 나눠 진행되고 있다. 이들 4개 사업은 홍제천 중류에 있는 수변테라스 카페는 ‘자연생태형’, 홍제천 상류는 홍지문·창춘대성과 연계한 ‘역사관광 명소화형’, 도림천은 인근 신원시장과 순대타운 등 상권을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형’, 정릉천은 ‘문화·여가형’이다.

강 소장은 현재 개발 중인 구파발천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콘셉트는 ‘사람과 물을 연결하는 풍경’으로, 이미 조성돼 있는 유수지를 많은 사람들이 찾는 휴식공간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그는 “이를 위해 유수지를 중심으로 지식산업센터와 아파트단지 쪽에 각각 전망테라스 카페와 호반대청이라는 시설을 넣어 허브를 만들고 유수지에는 달빛섬을 띄울 것”이라며 “예전에는 한방향이었던 산책로가 한바퀴 산책로로 연결된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서울 전역에 추진 중인 ‘수변활력거점’ 27곳 현황. |서울시 제공

이날 컨퍼런스에는 이관옥 싱가포르 국립대 경영대학 교수와 박현욱 서울역사박물관 학예연구부장 등이 문화적·역사적관점으로서의 수변과 공간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컨퍼런스 둘째날에는 이탈리아와 영국의 수변공간 활성화 사례를 통해 각 전문가들이 도시 발전전략을 공유한다. 특히 철강 도시에서 유럽 문화의 수도로 변신한 오스트리아 경제 중심지 린츠시의 클라우스 루거 시장이 문화와 예술이 흐르는 도나우 강 주변 도시 수변공간 활성화 사례를 발표한다.

이성희 기자 mong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