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료 분리징수 이후, KBS 비정규직 10명 중 8명은 고용불안 경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정연 기자(daramji@pressian.com)]KBS 수신료 분리징수 이후 KBS에서 일하는 프리랜서 비정규직의 10명중 8명이 고용불안을 경험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한빛센터)는 지난 7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KBS에서 일하는 프리랜서/비정규직 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KBS 비정규직들은 공영방송의 존재 의미와 이를 위한 수신료 징수의 필요성에는 각각 82%, 80%가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정연 기자(daramji@pressian.com)]
KBS 수신료 분리징수 이후 KBS에서 일하는 프리랜서 비정규직의 10명중 8명이 고용불안을 경험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한빛센터)는 지난 7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KBS에서 일하는 프리랜서/비정규직 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응답자의 84%가 수신료 사태 이후로 고용불안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수신료 분리징수 이전에는 76%가 내년에도 계속 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응답자의 58%가 내년에 계속 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49%가 수신료 사태 이후로 고용 유지가 어려워졌다고 답한 것이다.
KBS 비정규직들은 공영방송의 존재 의미와 이를 위한 수신료 징수의 필요성에는 각각 82%, 80%가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KBS가 수신료 가치를 어느 정도 구현하고 있다는 주장에는 공감한다가 54%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KBS 내부의 정규직-비정규직 격차가 심각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92%가 공감했다. 수신료 사태와 관련해 문제 해결 방향에도 내부 정규직-비정규직 격차 해소 필요성에는 90%가 공감했다.
한빛센터는 "윤석열 정부가 강행하고 있는 방송의 공공성 훼손과 방송장악 시도에 맞서기 위해서는 방송사 내부의 격차와 불평등을 해소하여야 한다"며 "그러한 문제인식을 비정규직을 포함하여 모든 방송 종사자에게로 확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연 기자(daramji@pressian.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가는 참사의 책임에서 스스로를 면책시켰다"
- 복귀 이재명, '통합' 방점…"체포동의안 처리과정 더 왈가왈부 말라"
- 한국은행 2급 이상 임원급 중 여성 비중 3%에 불과
-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에 인요한…자칫 최재형·김은경 혁신위 될라
- 尹대통령, 이·팔 분쟁에 "인도적 지원 협력할 것"
- '김기현 2기' 첫 고위당정…"유류세 인하 연장", "배추 2900톤 배출"
- 김영삼·노무현과 함께 '노동 정책' 여정에 접어들어
- 김무성, '바른정당 동지' 유승민에 "탈당 안 돼…패배 누명 쓴다"
- 국산 하이볼과 위스키, 세금 내려 반값으로?
- 서울시 쓰레기통, 3년새 30% 감소…'버스 음료반입 금지'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