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es from Japan’s ‘balanced diplomacy’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 팔레스타인 사태에 대한 일본의 대응을 유심히 보고 있다.
"모든 당사자에게 최대한의 자제를 요구한다." 주요 7개국(G7) 의장국을 맡고 있는 일본이지만 미국·영국 등이 9일 발표한 이스라엘 지지 공동성명에도 이름을 올리지 않는 선택을 했다.
중동지역에 일본 정부특사를 파견하고, 미국보다 앞서 가자지구에 1000만 달러(약 135억원)의 긴급 인도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EE YOUNG-HEE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Lately, I am closely watching Japan’s response to the crisis of Israel being attacked by the Palestinian militant group Hamas. Japan was quick to keep up with the United States over the war in Ukraine, but it is responding quite differently to the Middle East crisis.
A day after Hamas attacked Israel on Oct. 7, Japanese Prime Minister Fumio Kishida wrote on X, formerly Twitter, that he “strongly condemns” the Hamas attack that killed civilians. But he added, “I demand all involved parties to show maximum restraint.” While Japan is the chair country of the Group of Seven (G7), it chose not to be included in the joint statement by the U.S. and the U.K. supporting Israel on Oct. 9.
Since then, Foreign Minister Yoko Kamikawa has held a series of phone conversations with diplomatic officials from Jordan, the United Arab Emirates, Egypt, Qatar, Saudi Arabia and Iran, in addition to Israel and the Palestinian Authority.
Prime Minister Kishida also spoke with Saudi Arabia’s Crown Prince Muhammad bin Salman, Jordan’s King Abdullah II, Qatar’s monarch Sheikh Tamim bin Hamad Al-Sani and U.A.E. President Muhammad bin Zayed Al Nahyan on the phone on Oct. 18 to discuss the situation. She announced that Japan would send a special envoy to the Middle East and provide emergency a humanitarian aid worth $10 million (13.5 billion won) to the Gaza strip even before the U.S. Japan has given itself the role of a “mediator” and is busy working to “strengthen relations with both parties to quickly deal with the situation.”
Behind this attitude, which the Japanese media calls “balance diplomacy,” is national interest. Japan imports 94 percent of its crude oil from the Middle East, as of last year. Stability of the reg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resource security of Japan, and therefore, “Japan has no choice but to have its own color on the Middle East issue, while alliance with the U.S. forms the basis,” according to Nihon Keizai Shimbun.
For this, Japan has worked hard to keep close ties with various Mideast countries for long. In 1977, the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PLO) opened its office in Tokyo, serving as the embassy, and in 1998, Japan’s Representative Office opened in Gaza and moved to Ramallah in 2007.
There is also pessimism about how much influence Japan’s mediation efforts can have in the Middle East, where China’s presence is growing. But during the turbulent international situation, Japanese diplomacy is in full swing to find a role as a major actor with national interest at the center.
It marks a sharp contrast with Korea which has been keeping its mouth shut after describing Hamas’ attack as “a serious terrorist act that clearly violates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t the beginning of the conflict. A diplomatic expert said, “This is why Korea is still not enough to become a member of the G8.” That’s a point Korea can hardly overlook.
팔레스타인 사태와 일본의 '균형외교'이영희 도쿄 특파원
요즘 팔레스타인 사태에 대한 일본의 대응을 유심히 보고 있다. 미국이 깃발을 올리면 질세라 보조를 맞추던 우크라이나 전쟁 때와는 사뭇 달라서다. 지난 8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하자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X(트위터)에 민간인을 희생시킨 하마스의 공격을 "강하게 비난한다"고 썼다. 하지만 뒤에 이런 말을 덧붙였다. "모든 당사자에게 최대한의 자제를 요구한다." 주요 7개국(G7) 의장국을 맡고 있는 일본이지만 미국·영국 등이 9일 발표한 이스라엘 지지 공동성명에도 이름을 올리지 않는 선택을 했다.
이후 가미카와 요코(上川陽子) 외상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외에 요르단·아랍에미리트연방(UAE)·이집트·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이란 외교당국자와 잇따라 전화회담을 가졌다. 기시다 총리도 18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군주, 무함마드 빈 자이드알 나하얀 아랍에미리트 대통령과 연이어 통화하며 상황을 논의했다. 중동지역에 일본 정부특사를 파견하고, 미국보다 앞서 가자지구에 1000만 달러(약 135억원)의 긴급 인도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쌍방과의 관계를 강화해 사태의 빠른 수습에 힘쓴다"는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스스로 부여해 분주히 움직이는 모양새다.
일본 언론이 '밸런스(균형) 외교'라고 표현한 이런 태도의 뒤에는 국익이 있다. 일본은 지난해 기준 원유의 94%를 중동 지역에서 수입한다. 이 지역의 안정은 일본의 자원안보와 직결되며, 따라서 "미국과의 동맹을 기축으로 하면서도 중동문제는 독자적 색깔을 낼 수밖에 없는"(니혼게이자이신문) 상황이다. 이를 위해 일본은 오랜기간 중동 각국과 관계를 촘촘히 하기 위해 공을 들였다. 이미 1977년에 일본 도쿄(東京)에 대사관 역할을 하는 팔레스타인대표부(당시 이름은 PLO 도쿄사무소)가 문을 열었고, 1998년 가자지구에 일본 출장주재관사무소를 만들었다가 2007년 이를 라말라로 이전했다.
중국의 존재감이 커지는 중동에서 일본의 이런 중재노력이 얼마나 힘을 발휘할 수 있겠냐는 비관론도 나온다. 하지만 격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국익을 중심에 두고, 주요 액터로서 역할을 찾아가는 모습에서 일본외교의 노련함을 발견한다. 사태 초반 "하마스의 공격은 국제인도법을 명확히 위반한 강력한 테러행위"라는 입장을 낸 후 입을 닫고 있는 한국과 비교된다. 한 외교전문가는 "한국이 G8에 이름을 올리기에 아직 부족한 이유"라고 했다. 허투루 넘기기 힘든 지적이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aniel Henney weds actor Ru Kumagai
- Korean and Saudi leaders agree to deepen 'strategic partnership' in summit
- Minjee Lee wins playoff to take BMW Ladies Championship
- Agency of 'Parasite' actor Lee Sun-kyun releases statement over alleged drug use
- Exported Tsingtao unconnected to viral video, Korean importer says
- [WEEKEND GETAWAY] Four places you need to visit in Incheon, Korea's most picturesque city at night
- South Korea, U.S. and Japan to hold first-ever joint air force drill near peninsula Sunday
- Actor Ha Seok-jin wins Netflix reality show 'The Devil's Plan'
- Unhealthy lifestyles causing young Koreans to grow older faster
- Prosecution indicts Yoo Ah-in without detention on drug use char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