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피해 입은 키부츠 사람들, 팔레스타인과 공존 꿈꾸었다” “하마스, 전쟁을 게임처럼 생각”

최영권 2023. 10. 23.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지난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공격으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키부츠(농업공동체)에서는 팔레스타인과의 공존을 꿈꿨었다며 안타까워했다.

김 교수는 이스라엘 내부에서는 정부가 하마스에 인질로 끌려간 국민을 제때 구하지 않은 것에 분노와 하마스 응징에 나선 정부를 믿어 보자는 두 가지 여론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 내부에서 팔레스타인에 친화적이었던 사람들이 오히려 하마스 공격의 최대 피해자가 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지인이 전한 평화 기원 목소리

“인질 제때 안 구해” “정부 믿자”
이스라엘 내부에 두 가지 여론
집 근처에 미사일 15발 쏟아져
휴교령에 생필품 동난 경우도

이스라엘 사람들은 지난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공격으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키부츠(농업공동체)에서는 팔레스타인과의 공존을 꿈꿨었다며 안타까워했다. 서울신문은 이스라엘 현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평화를 기원하는 목소리를 들어 보았다.

김제완 이스라엘 히브리대 한국학과 교수

키부츠 자원봉사를 하러 이스라엘에 간 뒤 현지 여성과 결혼해 27년째 살고 있는 김제완 이스라엘 히브리대 한국학과 교수는 21일(현지시간) 보복에 나선 유대인들의 여론을 전했다.

김 교수는 이스라엘 내부에서는 정부가 하마스에 인질로 끌려간 국민을 제때 구하지 않은 것에 분노와 하마스 응징에 나선 정부를 믿어 보자는 두 가지 여론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키부츠 사람들은 가자지구에 사는 아랍인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주고 더불어 잘 살자고 말했는데 이번 공격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며 “키부츠에 살던 일가족이 깡그리 살육당해 아랍인들을 위한 목소리를 대변할 수 없게 돼 버렸다”고 밝혔다. 이스라엘 내부에서 팔레스타인에 친화적이었던 사람들이 오히려 하마스 공격의 최대 피해자가 된 것이다.

김 교수는 “지난 7일 이후 집 근처에 미사일 15발이 날아왔다”며 “가장 가까운 미사일은 400m 옆에 떨어졌다”고 현지의 불안한 정세를 설명했다. 이어 “이번 공격으로 인티파다(팔레스타인 봉기) 때 3~4년에 걸친 자살폭탄테러 희생자들에 맞먹는 숫자가 불과 하루 만에 목숨을 잃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하마스 공격 이후 모든 일상을 멈추고 세이프룸(안전방) 안에서 가족들과 함께 뉴스를 보며 전쟁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이스라엘은 1990년 걸프전 발발 이후 모든 집에 일정 두께 이상의 벽과 철제문을 갖춘 세이프룸을 의무적으로 설치했다.

아브라하미 노아 이스코넷 대표

수도 텔아비브에서 남쪽으로 12㎞ 정도 떨어진 리숀레지온에 살고 있는 아브라하미 노아(46) 이스코넷 대표는 “어떻게 아이들을 불에 태우고, 젊은 여성을 강간하고, 총살하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며 웃을 수 있냐”며 “하마스는 전쟁을 게임처럼 생각하는 것 같다”고 분노했다. 이스라엘 학생들에게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 노아 대표는 예비군으로 징집된 남편 얼굴을 열흘 넘게 보지 못했다. 그의 남편은 가자지구에 비해 안전한 서안지구에 있지만 혹시라도 지상전이 시작되면 더 위험한 곳에 갈 수도 있다며 태산 같은 한숨을 쉬었다.

세 아이의 엄마인 노아는 “아이들이 엄마 곁에서 떨어져 있지 않으려 한다”고 말했다. 지난 15일이 원래 개학날이었지만 두 번에 걸쳐 휴교령이 내려지는 바람에 11월 초까지 학생들이 집에 머물러야 한다. 주변 식료품점의 생필품이 동난 경우도 많다.

최영권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