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헌의 히스토리 인 팝스] [183] 핼러윈

강헌 음악평론가 2023. 10. 23. 03: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ichael Jackson ‘Thriller’(1982)

“자정이 가까워지고 뭔가 사악한 것이 어둠 속에 숨어 있어/달빛 아래서 넌 심장이 멎을 듯한 광경을 보지/넌 비명을 지르려 하지만 공포 때문에 소리도 나오지 않아/공포가 네 두 눈 사이를 노려보는 순간 넌 얼어붙기 시작해/넌 얼어붙었어(It’s close to midnight and something evil’s lurking in the dark/Under the moonlight you see a sight that almost stops your heart/You try to scream but terror takes the sound before you make it/You start to freeze as horror looks you right between the eyes,/You’re paralyzed).”

팝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으로 기록된 마이클 잭슨의 1982년 앨범 타이틀과 같은 이 노래는 ‘Billie Jean’이나 ‘Beat It’만큼 히트하진 못했다. 하지만 영화감독 존 랜디스가 연출을 맡아 무려 80만달러 제작비를 쏟아부은 뮤직비디오는 뮤직비디오 역사의 신기원을 만들었다. 이 노래는 핼러윈 축제의 단골 레퍼토리로, 오바마 부부가 백악관 핼러윈 파티에서 손님들과 함께 이 노래에 맞춰 신나게 춤을 춘 적이 있을 정도다.

‘핼러윈(Halloween)’의 ‘hallow’란 고대 영어로 성인(saint)을 뜻하며, ‘이브(eve)’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이다. 직역하면 ‘모든 성인의 대축일 전야제’를 의미한다. 고대 켈트족의 문화가 기독교와 만나면서 겨울의 시작점이라고 본 11월 1일 만성절 전야 파티가 된 것이다.

핼러윈은 아일랜드계 이민자들이 미국에 전파하면서 상업화, 미국화된 축제다. 이날의 가장 대표적인 상징물인 호박 인형 등불(Jack-o’-lantern)도 본래는 순무로 만들었으나 미국에서 가장 많이 나는 호박으로 재료가 바뀐 것이다.

2022년 이날, 대한민국 이태원에서 일어난 핼러윈 참사로 많은 젊은이가 목숨을 잃었다. 올해 핼러윈은 악령들도 침묵할 조용한 축제가 될 듯하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