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10개국 통일벼 키운다... 정황근 장관 '농업 외교' 큰 성과

이보미 2023. 10. 22. 18: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서아프리카를 방문한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K라이스 벨트' 참여국 확대 등 성과를 거뒀다.

다음달 개최지 발표를 앞둔 2030세계박람회의 부산 유치 지지를 요청하는 등 '농업 외교'에도 힘을 쏟았다.

22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정 장관은 지난 15~20일까지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서아프리카의 시에라리온과 코트디부아르를 찾아 농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K-라이스벨트' 사업 참여를 공식화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에라리온·코트디부아르 방문
K-라이스벨트 사업참여 공식화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왼쪽)이 16일 헨리 크파카 시에라리온 농업식량안보부 장관과 K-라이스벨트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서아프리카를 방문한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K라이스 벨트' 참여국 확대 등 성과를 거뒀다. 다음달 개최지 발표를 앞둔 2030세계박람회의 부산 유치 지지를 요청하는 등 '농업 외교'에도 힘을 쏟았다.

22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정 장관은 지난 15~20일까지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서아프리카의 시에라리온과 코트디부아르를 찾아 농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K-라이스벨트' 사업 참여를 공식화했다. K-라이스벨트는 한국의 통일벼를 아프리카 기후에 맞게 개발한 신품종과 재배기술을 아프리카에 전수해 쌀 생산성을 높이는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이다. 아프리카에 공급될 개량 품종 '이스리6', '이스리7'의 ha당 벼 수확량은 5~7t으로 아프리카 벼 품종(1.5t)에 비해 네 배가량 생산성이 높다. 당초 K-라이스벨트 프로젝트는 세네갈, 감비아, 기니, 가나, 카메룬, 우간다, 케냐 등 8개국으로 시작했지만, 시에라리온과 코트디부아르가 참여하면서 참여국이 10개국이 됐다.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들어가 오는 2027년까지 이들 국가에 43만ha의 쌀 생산 기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성공적으로 생산되면 예상 수확량은 200만t으로 3000만 명이 1년간 먹을 수 있는 규모다.

새롭게 회원국이 된 시에라리온과 코트디부아르는 1인당 쌀 소비량이 연간 100㎏을 넘지만 자급률은 50% 전후에 불과하다. 코트디부아르는 연간 약 9000억원 규모의 쌀을 수입하고 있다. K-라이스벨트 사업에 대한 아프리카 국가들에 관심은 뜨거웠다.

정 장관을 만난 줄리우스 마다 비오 시에라리온 대통령은 "한국의 우수한 쌀 종자와 농업 기술 발전 경험을 전수받기를 희망한다"면서 "시에라리온은 한국 같은 친구를 찾고 있었다"라고 언급했다. 코트디부아르의 코베난 아주마니 농업지역개발식량 생산부 장관은 정 장관과의 면담에서 "최근 정부의 내각 개편을 통해 기존 농업지역개발부 명칭에 '식량생산'을 추가할 정도로 식량주권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쌀 자급을 달성한 한국은 코트디부아르의 롤 모델이라며 K-라이스벨트 참여를 통해 한국의 농업 발전 경험을 상세히 배우고 싶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 장관은 이번 방문 기간에 각국의 고위 관계자들을 만나 다음달 개최지 선정을 앞둔 2030 부산 세계박람회에 대한 지지헤 줄 것을 요청하는 '세일즈 외교'도 펼쳤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