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미술 수도' 파리, 아트페어 전쟁서 런던에 '판정勝'

이선아 2023. 10. 22. 18: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흘 간격 두고 열린 아트바젤 파리 vs 프리즈 런던
파리, 전시구성·참여 열기 '압도'
루이비통 등 명품 브랜드부터
루브르 등 박물관도 총출동
수십억 작품 완판행진 이어져
‘파리 플러스 파’가 개막한 지난 18일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 에페메르 전시장에서 관람객들이 부스에 전시된 작품을 둘러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영국 런던과 프랑스 파리는 세상이 다 아는 라이벌 도시다. 수백 년 동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사안에서 ‘유럽 최고 도시’ 타이틀을 놓고 다퉜다.

지난 열흘 동안 두 도시가 겨룬 ‘종목’은 미술이었다. 세계 양대 아트페어(미술품 장터)인 프리즈와 아트바젤이 각각 런던과 파리에서 사흘 간격으로 열렸기 때문이다. 아무리 돈 많은 ‘큰손’ 컬렉터라도 두 아트페어에 나온 작품을 모두 쓸어 담을 수는 없는 터. 둘 중 어떤 아트페어에 더 많은 사람이 몰렸는지, 더 많은 작품이 팔렸는지에 세계 미술계의 관심이 쏠린 이유다.

‘프리즈 런던’(11~15일)과 ‘파리 플러스 파 아트바젤(18~22일)’ 현장에서 만난 컬렉터와 갤러리스트들의 평가는 대체로 비슷했다. “파리의 판정승”이라고. 한 컬렉터는 “올해 전시 구성과 참여 열기 등을 보면 파리가 런던을 누르고 ‘유럽 미술 수도’ 자리를 되찾은 것 같다”고 말했다.

 런던 대신 파리로 몰려간 VIP

파리 플러스는 세계 최대 아트페어 아트바젤의 모기업 스위스 MCH그룹이 작년에 프랑스 토종 아트페어인 ‘피악(FIAC)’을 인수하면서 시작됐다. 올해로 2회째인 ‘신생 페어’인데도 20주년을 맞은 프리즈 런던의 대항마로 떠오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아트바젤의 이름값과 피악의 전통을 업고 34개국, 154개 갤러리를 끌어모았다.

파리 플러스의 열기는 첫날부터 뜨거웠다. VIP 오프닝 행사가 열린 지난 18일 에펠탑 근처 그랑팔레 에페메르 전시장은 인파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그중에는 세계 최고 부자로 손꼽히는 베르나르 아르노 LVMH 회장의 딸 델핀 아르노와 홍라희 전 리움 관장 등도 있었다.

이런 VIP들이 찾으니 세일즈가 안 좋을 리 없다. 전 세계에 지점을 갖고 있는 ‘메가 갤러리’들은 첫날부터 수백만달러대 판매 소식을 알렸다. 프리즈 런던에선 100만달러 이상 판매작이 없었던 데이비드 즈워너는 파리 플러스 첫날에 케리 제임스 마셜의 그림을 600만달러(약 81억원)에 팔았다. 하우저앤드워스도 첫날 240만달러(약 32억원)짜리 조지 콘도의 신작을 포함해 부스에 걸려 있던 작품을 ‘완판’했다.

많은 컬렉터가 런던 대신 파리를 택한 데는 이유가 있다.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훨씬 더 많았기 때문이다. 프랑스 명품 브랜드들이 그 역할을 맡았다. 루이비통은 아트페어 안에선 박서보 등 예술가들과 협업한 ‘아트카퓌신’ 가방 부스를 차렸고, 페어장 밖 루이비통재단미술관에선 마크 로스코 작품을 밤늦도록 즐길 수 있는 VIP 행사를 열었다. 피노는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리모델링한 공간에서 미국 작가 마이크 켈리 전시를 열었고, 겔랑은 샹젤리제 거리 매장을 예술 전시장으로 바꿔놨다. 반 고흐(오르세박물관), 모딜리아니(오랑주리미술관), 곰리(로댕미술관) 등 국공립미술관에서도 ‘블록버스터 전시’가 일제히 열렸다.

내년엔 파리가 ‘유럽 미술 수도’ 입지를 확실하게 굳힐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파리 플러스 전시장을 지금의 7배에 달하는 그랑팔레로 옮기기 때문이다. 내년 7~8월 파리올림픽을 치를 바로 그 자리에서 두 달 뒤 아트페어를 개최한다는 얘기다. 미술계에선 장소를 옮기면 갤러리가 25%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시아도 한 곳으로 집중될 것”

유럽 미술 수도를 둘러싼 런던과 파리의 전쟁은 아시아에서 비슷한 형태로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유는 두 가지다. ①최근 몇 년 새 아트페어 수가 부쩍 늘어났는데, ②글로벌 경기 둔화 등의 여파로 미술시장이 쪼그라들어서다.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다. MCH그룹이 올초 파리 플러스에 힘을 싣기 위해 10년이 넘은 아트페어 ‘마스터피스 런던’을 중단한 것처럼.

아시아가 딱 그런 상황에 처했다. 지난 몇 년간 아시아 최고 아트페어인 ‘아트바젤 홍콩’이 정치 불안 여파로 흔들리자 프리즈 서울(한국), 아트 SG(싱가포르), 도쿄 겐다이(일본) 등이 줄줄이 생겼기 때문이다.

미술계에선 우후죽순처럼 생긴 여러 아시아 아트페어 가운데 사람과 돈이 몰리는 1~2개 중심으로 조만간 재편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파리에서 만난 한 중국인 컬렉터는 “미술 투자 열기가 수그러든 만큼 대다수 글로벌 컬렉터는 아시아 아트페어 중 한두 곳 정도만 둘러볼 것”이라며 “지금 시점에서 프리즈 서울은 아트바젤 홍콩과 함께 가장 경쟁력 있는 아시아 아트페어”라고 했다.

파리=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