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대학·연구기관·기업(연)사고 1,494건이나 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병욱(국민의힘, 포항시남구울릉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6년간(2018~2023.8) 대학·연구기관·기업부설(연) 연구실에서 발생한 사고가 1,49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실 사고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8년 211건에서▲2019년 233건으로 늘었다가 ▲2020년 225건으로 다소 감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314건, 올해 8월 현재 214건
“실험실 안전관리 시스템 마련해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병욱(국민의힘, 포항시남구울릉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6년간(2018~2023.8) 대학·연구기관·기업부설(연) 연구실에서 발생한 사고가 1,49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실 사고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8년 211건에서▲2019년 233건으로 늘었다가 ▲2020년 225건으로 다소 감소했다. 그러다가 ▲2021년 292건 ▲2022년 314건 ▲2023년 8월 기준 214건으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대학이 933건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기업부설 연구소가 309건, 연구기관이 253건 순이었다.
전문가들은 연구실 사고 특히 폭발 등의 화학사고가 발생하는 주요원인의 하나로 연구실 내 시약의 부실한 관리를 지목했다.
첨단 연구를 수행하는 우리나라 대학과 과학기술원의 연구실에서는 인체에 해로운 유해물질, 나노입자, 유기용제, 폭발성 가스 등 물질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화학물질을 수기나 엑셀로 정리하는 등 주먹구구식으로 관리하고 있어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병욱 의원은 “연구실 내 시약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해 실험실에 먼지 쌓인 약병들이 나뒹굴고 유통기한이 10년이나 지난 1급 발암물질이 방치되는 경우도 있다”면서 “연구실 내 시약을 적기에 폐기해 실험실 안전을 확보하도록 실험실 안전관리 시스템을 적극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김현아 (chao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中 갈등에 '새우등 터질라'..中 흑연 의존 높은 K배터리 '비상'
- “칼 갖고 와” 나체로 난동부리다가…경찰 테이저건에 혼쭐
- “우리 아들도 군인이야” 횟집서 장병들 식사값 낸 50대 남성들
- 새댁 공효진, 63억에 산 빌딩 160억에 내놨다[누구집]
- “왜 내 마음 안 받아줘” 유부남 25년 짝사랑 끝 ‘방화 살해’ [그해 오늘]
- 동창들 모인 단풍놀이였는데…터널서 ‘쾅’, 4명 사망
- 달 우주선 검증 나선 인도···미·중 이어 유인 달착륙 경쟁[우주이야기]
- '한국형 아이언돔' 잊어라…세계 최초 장사정포 요격체계 개발[김관용의 軍界一學]
- '그냥 집에 있어요'…3년간 취업활동 안 한 청년 '니트족' 8만명
- 경기 후 울먹인 볼카노프스키 "단기 오퍼 수락은 실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