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부족에 EU 훼방까지”…‘안갯속’ 아시아나항공-HMM 인수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수합병(M&A)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HMM의 유찰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도 난항이 예상된다.
이 가운데 HMM의 경우 인수 후보자들의 자금 여력이 부족해 유찰 뒤 포스코 등 대기업의 인수를 참여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이 무리하게 HMM을 인수할 경우 '승자의 저주'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수합병(M&A) 시장의 최대어로 꼽히는 HMM의 유찰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도 난항이 예상된다.
이 가운데 HMM의 경우 인수 후보자들의 자금 여력이 부족해 유찰 뒤 포스코 등 대기업의 인수를 참여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과거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 인수에 실패한 HD한국조선해양 사례와 비슷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의 최대 분수령으로 꼽히는 아시아나항공 이사회가 오는 30일 열린다.
유럽연합(EU)의 시정 요구에 따른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안이 이사회에서 부결될 경우, 3년을 표류했던 두 항공사의 합병 건은 EU 경쟁당국의 까다로운 심사를 넘지 못할 수 있다. EU가 작년 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에 대해서도 독과점을 이유로 합병을 불허한 경험이 있다.
산업은행은 아시아나항공에 대해 '추가 지원'은 없다고 못 박은 바 있어, 대한항공과의 합병이 무산될 경우 '제3자 매각'도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 상반기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총부채는 12조원으로, 지난 6월말 기준 부채 비율은 1741%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간 기업 결합은 2020년 11월 산업은행의 통합 추진 발표로 본격화됐고, 대한항공이 올해 초 기업결합을 신고한 14개국 중 11개국으로부터 승인받았다. 하지만 지난 5월 EU가 합병에 따른 화물 경쟁 제한 가능성을 우려하는 중간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제동이 걸렸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과 유럽 일부 노선 슬롯 반납을 담은 시정 방안을 마련했지만, 이러한 안을 제출하기 위해서는 아시아나항공 이사회로부터 매각과 관련한 찬성을 얻어야 한다.
만약 이사회가 매각을 거부한다면 EU의 기업결합 심사 승인은 물 건너갈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EU를 통과해도 미국과 일본 경쟁당국의 기업결합 심사 승인도 거쳐야 한다.
EU의 반대로 이번 합병이 무산될 경우 아시아나항공의 독자생존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으로 우려된다.
내달 예정된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의 인수 본입찰도 유찰될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인수 후보인 LX그룹, 하림그룹, 동원그룹은 인수에 필요한 자금 확보에 나섰지만, HMM을 인수할 여력이 될지는 미지수라는 평이다.
LX그룹은 현재 2조5000억원에 달하는 현금성 자산을 보유해 다른 인수 후보들보다 자금 동원력이 앞선다. 그러나 최소 5조원으로 예상되는 인수금액을 자체 자금력으로 감당하기는 역부족이다.
하림그룹의 해운사 팬오션의 경우 지난 16일 이사회를 열고 보유한 한진칼 주식 390만3973주를 1628억원에 처분하기로 결정했지만, 인수금액을 감당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 하림의 올 상반기 기준 보유 중인 현금성 자산은 1조6000억원 정도다.
나머지 후보군인 동원그룹의 올 상반기 현금성 자산은 60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이런 가운데 HMM의 채권단인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는 매각 절차 개시 때 밝힌 1조원가량의 영구전환사채(CB) 주식 전환을 지난 20일 실행했다. 산업은행과 해진공은 1조7000억원가량의 영구채를 더 보유하고 있어, 이마저도 주식으로 전환할 경우 최소 5조원으로 예상되는 HMM 인수 금액은 더 올라갈 수 있다.
이 때문에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이 무리하게 HMM을 인수할 경우 '승자의 저주'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국내 해운업의 발전을 위해 포스코 등 대기업이 인수해야 한다는 시각도 나온다.
장우진기자 jwj1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 애도 반수시켜 의대 보낼까"…의대 광풍에 반수생 9만명 `역대 최대`
- 최태원의 반전…동거인 김희영 사진만 쏙 뺐다
- "내 말 안들으면…" 권총 사진 보낸 70대男…경찰특공대 현장 출동
- `세계 두번째 시도` 돼지심장 이식환자, 한 달간 부작용 없이 생존
- 아내 친구 2명과 동시에 바람 핀 `헬스 트레이너`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