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흑연' 수출 무기 휘두르자…韓 배터리·철강 "불확실성 커졌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당국이 흑연에 대한 수출통제를 강화하자 중국에 흑연 수입을 90% 이상 의존하는 국내 기업이 긴장하고 있다.
다만 이번 흑연 통제에 따른 단기적 타격보다는 산업용 핵심 광물 무기화에 대한 중국의 의도가 갈수록 노골화하는 추세에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22일 배터리와 철강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는 지난 20일 '흑연 품목의 임시 수출 통제 조치 최적화 및 조정에 관한 공고'를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다변화로 대비 태세 갖추고 있어
중국 당국이 흑연에 대한 수출통제를 강화하자 중국에 흑연 수입을 90% 이상 의존하는 국내 기업이 긴장하고 있다. 다만 이번 흑연 통제에 따른 단기적 타격보다는 산업용 핵심 광물 무기화에 대한 중국의 의도가 갈수록 노골화하는 추세에 주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22일 배터리와 철강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와 해관총서는 지난 20일 '흑연 품목의 임시 수출 통제 조치 최적화 및 조정에 관한 공고'를 발표했다. 흑연 일부 품목에 대해 수출 통제를 실시한다는 내용이다. 수출 통제는 오는 12월 1일부터 시행된다.
흑연은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음극재 제조에 사용되는 필수 광물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흑연 생산국이자 수출국으로, 전 세계 흑연의 90% 이상을 정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의 이차전지 음극재용 흑연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93.7%에 달한다.
배터리 업계는 중국의 수출통제 상황을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한국에선 포스코퓨처엠이 중국에서 수입한 천연흑연으로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다. 다만 중국의 이번 조치에 따라 공장을 멈출 정도로 긴급한 상황은 아니라고 일축했다. 포스코퓨처엠의 흑연 재고분은 한 달 반치로 알려졌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12월부터 적용되는 통제이기 때문에 그전까지 최대한 재고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과거 중국이 행했던 수출 통제 수준이면 수급이 크게 어렵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흑연 수출 금지가 아니라 '통제'이기 때문이다. 흑연 수급이 완전히 끊기는 일은 발생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다. 하지만 중국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수출을 금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수출업자들이 매번 수출 때마다 중국 상무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므로 조달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업계는 기존보다 흑연 조달 절차가 약 2~3주 더 소요될 것이라 전망한다. 갈륨·게르마늄의 경우 수출 허가에 시간이 걸려 통제 첫 달인 지난 8월 중국의 수출량이 '제로'(0) 로 떨어졌다.
중국산 흑연으로 만든 음극재를 쓰는 배터리사들도 관련 영향에 대비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흑연은 중국에서 거의 전량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을 거치지 않고 음극재를 만드는 곳은 없을 것"이라며 "지금은 중국의 규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예의주시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어 "이미 수출신고 품목이던 인조흑연 음극재의 선례에 비춰보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높아진 건 맞지만, 기존에 기울인 노력에 더해 공급망 다변화를 서두르고 있다"고 했다.
철강업계도 촉각을 기울인다. 흑연은 전기로 제련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 전극봉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사들은 고품질의 일본산 전극봉을 사용한다. 일본 전극봉 생산업체가 중국에서 흑연을 들여오기 때문에 흑연 공급량이 부족해지면 중장기적으로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흑연 공급량 부족해지면 일본 전극봉 생산 업체가 자국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과거 전극봉 대란을 거치며 구매선을 다양화해뒀기 때문에 당장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산업계에선 중국이 산업용 핵심 광물을 무기화하려는 움직임에 주목해야 한다고 입 모은다. 중국 정부가 다른 핵심 광물로 전선을 확대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이다. 중국은 지난 8월 첨단 반도체 제조에 쓰이는 갈륨·게르마늄 관련 품목의 수출을 통제한 데 이어 흑연까지 규제하고 나섰다. 유럽연합(EU)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핵심 원자재 51종 가운데 33종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세연 기자 2counting@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이선균 사주 영상' 무속인 연락 안된 이유?…"돌아가셨다" - 머니투데이
- '이선균 아내' 전혜진 광고도 내려갔다…'마약 의혹' 불똥 - 머니투데이
- "초6 딸 SNS에 노출사진이" 엄마 눈물 펑펑…정형돈도 '충격' - 머니투데이
- 김연아 vs 모델, 직각 어깨 드러난 튜브톱 드레스 자태 "우아해" - 머니투데이
- "김희재, 고가 명품 미반환 후 연락두절"…6억대 손배소 내달 선고 - 머니투데이
- 정준하 "하루 2000만, 월 4억 벌어"…식당 대박에도 못 웃은 이유 - 머니투데이
- "시세차익 25억"…최민환, 슈돌 나온 강남집 38억에 팔았다 - 머니투데이
- 박나래, 기안84와 썸 인정…"깊은 사이였다니" 이시언도 '깜짝'
- "700원짜리가 순식간에 4700원"…'퀀타피아 주가조작 의혹' 전직 경찰간부 구속 - 머니투데이
- "수능 시계 잃어버려" 당황한 수험생에 '표창 시계' 풀어준 경찰 '감동'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