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첫 에베레스트 등정 이끌고 수많은 산서 펴낸 김영도 선생 [메멘토 모리]
기자의 보잘것 없는 서가를 장식한 책들 가운데 가장 오래 전에 출판된 책 쪽에 드는 것이 라인홀트 메스너의 영원한 고전 ‘검은 고독 흰 고독’(김영도 옮김, 평화출판사)이다. 1983년 4월에 출간됐으니 40년이 넘어 속지는 노란색과 붉은색의 중간 쯤으로 바랬다. 1978년 히말라야 낭가 파르밧을 혼자서 오른 뒤 책을 냈는데 인터넷이 없던 당시로선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빠른 속도로 한글로 옮겨진 것이었다.
역자인 김영도 선생은 책 후기에 메스너로부터 편지를 받았는데 당시로선 세계 산악계에서 미미한 존재였던 한국에서 자신의 책이 번역돼 나온다는 사실을 알고 놀랐다며 기회가 되면 한국을 찾아 강연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마르크스레닌주의 책들 원본을 어렵사리 구해 복사해서 많은 학생들이 돌려 보던 시절이다. 1977년 에베레스트 원정대를 이끌어 고 고상돈(1948∼1979)의 한국인 첫 등정을 도왔던 김영도 선생이 99세를 일기로 세상을 등졌다는 소식을 1박2일 일정으로 설악산 울산바위와 화암사 선인대를 다녀오는 길에 듣게 됐다.
유신정우회 의원을 지낸 김영도 선생은 21일 오후 5시 경기도 의정부 자택에서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한국 산악계의 원로로 국내에 산악 책들을 소개하는 데 앞장선 고인은 1924년 10월 18일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태어나 평양고보,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중학생 때 일본의 오시마 료키치가 쓴 ‘산-연구와 수상’(1930, 이와나미서점)이라는 책을 접한 뒤 취미로 영어·일본어·독일어로 적힌 등산 서적을 읽기 시작했다. 고인은 1956∼1963년 서울 성동고 교사로 일한 뒤 1963년 민주공화당에 참여해 정치에 입문했다. 1973∼1979년 제9대 국회에서 유신정우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1971년 히말라야 로체샤르 원정(대장 박철암) 비용을 지원해 준 것을 계기로 1971∼1976년 대한산악연맹 부회장, 1976년 10월∼1980년 12월 제7대 회장을 지냈다. 1977년 9월 15일 한국 등반대(18명)를 이끌고 세계 8번째(국가 기준) 에베레스트 등정에 성공했다.
1978년에는 그린란드 탐험에 나서 북위 80도2분7초(북극은 북위 66도33분)까지 진출했다. 한국인 최초(동양 2번째, 세계 8번째)의 북극권 원정이었다.
고인의 저서로는 ‘나의 에베레스트’(1980), ‘우리는 산에 오르고 있는가’(1990), ‘산의 사상’(1995), ‘에베레스트 ‘77 우리가 오른 이야기’(1997), ‘우리는 왜 산에 오르는가’(2005), ‘서재의 등산가’(2020) 등이 있다.
90세를 넘겨서도 왕성하게 산에 대한 열정을 구현했다. 지난해 10월 25일 서울 시민청 태평홀에서 마지막 강의로 열정을 불태우기도 했다. 2012년 대전 강연에서 “나는 사람을 구분할 때 산에 가는 사람과 산에 가지 않는 사람, 산에 가는 사람으로서 책을 읽는 사람과 읽지 않는 사람, 책을 읽는 사람으로서 글도 쓰는 사람과 쓰지 않는 사람으로 구분한다”고 말했을 만큼 독서와 글쓰기에서 산사랑의 진정성을 찾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국내 유명 산악인들이 자신의 등반 기록조차 제대로 남기지 않아 산에 대한 정보를 많은 이들과 공유하지도, 후대에 전수하지 못하는 것을 매우 안타깝게 여겼다. 해서 몇년 전 세상을 떠난 김창호 같은 새로운 세대의 등반가들이 롤 모델로 여기는 것이 바로 김영도 선생이었다.
대한산악연맹이 창립 50주년을 맞아 2012년에 선정한 ‘대한산악연맹을 빛낸 50인’에 포함됐고, 별세 전날 울주국제산악영화제에서 아들이 대리로 특별공로상을 받았다.
이용대 코오롱등산학교 명예교장은 저서 ‘그곳에 산이 있었다’(2014)에서 “김영도 회장은 젊은 산악인들에게 롤 모델 같은 사람”이라며 “수많은 산서를 펴낸 저술가요, 산서를 통해서 등산의 본질을 설파해 온 알피니즘의 전도사요, 한국 최초로 에베레스트 등정을 성사시킨 인물이면서도 상대를 인정하고 시시비비를 공정하게 가려내는 넉넉한 인성의 소유자였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고인은 지난해 ‘마지막 강의’에서 “세상에 인간이 한번도 못 오른 ‘미답봉’은 남아있지 않지만 메스너는 ‘내가 못 오른 산이 미답봉’이라고 했다. 여러분의 마음속엔 여전히 공백이 남아있는 것”이라며 “우리, 알피니스트는 고고하고 준엄한 대자연(을 즐길 수 있는)의 시민권을 갖고 있다”는 말을 남겼다.
유족은 1남 2녀.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7호실에 빈소가 차려졌다. 발인 24일 오전 7시 30분.
임병선 선임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근무 중 ○○’ SNS 인증샷 올린 女공무원 결국 징계 수순
- 칭다오 맥주공장서 원료에 소변을…수입사·식약처 “중국 내수용”
- 다나카 “인기 예전만 못해… 박명수 부러워”
- 블랙핑크 리사 ‘영앤리치’ 근황…비키니 입고 요트
- 혜은이, 빚 때문에 母 아파트까지 뺏겨… 수난 시대 공개
- 6세 아동에게 뺨 맞고 똑같이 되갚은 체육관 관장 ‘벌금 400만원’
- “두 아들에겐 땅, 다섯 딸은 이천만원만”…부친 유언 영상의 반전결말
- ‘마약 의혹’ 이선균에 꿈틀대는 광고계…‘손절 움직임’
- “코로나 아냐” 中서 확산 중인 ‘이 폐렴’…태국 공주도 감염됐다 의식불명
- “운동하는 남편에게 친구들 소개…결국 바람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