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공포도 못막는 가계대출…3%대 금리 사라져도 이달 3.4조↑

신호경 2023. 10. 22. 06: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은행 대출금리 한달새 0.3%p이상↑…변동금리 이어 고정금리도 7% 육박
5대은행 가계대출 19일까지 3.4조원↑…2021년 10월 이후 최대 증가폭
한은총재 "빚으로 하는 부동산투자, 이자부담·단기차익 가능할지" 경고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미국 국채 금리가 긴축 장기화와 재정적자 확대 우려 등으로 급등하면서 국내 시장금리와 은행의 대출·예금 금리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불과 한 달 전까지 3%대였던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 하단이 4%대로 일제히 올라섰고, 상단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이어 고정금리와 신용대출 금리 등까지 7%대에 육박하고 있다.

여기에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압박까지 겹쳐 당분간 금리 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은행권의 관측이다.

하지만 이런 긴축 공포에도 불구, 가계대출 증가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으면서 금융 위기에 대한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이달 들어 5대 은행에서만 3조원 이상의 가계대출이 불어나는 등 이사 철과 부동산 거래 회복 등의 여파로 증가 속도가 오히려 더 빨라지는 추세다.

긴축공포도 못막는 한국 가계대출…3%대 금리 사라져도 이달 3조이상↑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2023.9.24 ryousanta@yna.co.kr

4대은행 주담대 한달새 0.34%p↑…시장금리 상승+가산금리 인상

[그래픽] 시중은행 대출 금리·채권 금리 추이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미국 국채 금리가 긴축 장기화와 재정적자 확대 우려 등으로 급등하면서 국내 시장금리와 은행의 대출·예금 금리도 빠르게 오르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불과 한 달 전까지 3%대였던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 하단이 4%대로 일제히 올라섰고, 상단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이어 고정금리와 신용대출 금리 등까지 7%대에 육박하고 있다. yoon2@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20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4.240∼6.725% 수준이다.

약 한 달 전 9월 22일(연 3.900∼6.490%)과 비교해 하단이 0.340%포인트(p) 뛰면서 4%대로 올라섰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만기 1년·연 4.620∼6.620%)도 한 달 만에 상·하단이 모두 0.060%p씩 올랐다.

같은 기간 두 금리가 주로 지표로 삼는 은행채 5년물, 1년물 금리가 각 0.270%p(4.471→4.741%), 0.060%p(4.048→4.108%) 상승한 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은행채 등 시장 금리는 최근 미국과 한국 긴축 장기화 전망과 은행채 발행 물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꾸준히 올랐고, 지난 19일(현지 시간)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16년 만에 5%를 넘어서면서 상승세가 더 강해지는 분위기다.

이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취급액 코픽스 연동·연 4.550∼7.143%) 역시 상단과 하단이 각 0.280%p, 0.044%p 높아졌다.

시장금리와 예금금리 상승분이 뒤늦게 반영되면서. 변동금리의 주요 지표금리인 코픽스(COFIX)가 석 달 만에 0.160%p(신규취급액 기준 3.660→3.820%) 올랐기 때문이다.

결국 최근 시장금리가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나 변동금리 모두를 밀어 올리면서, 하단의 3%대 금리는 사라지고 고정금리와 신용대출 금리까지 6%대 후반으로 7%대에 바싹 다가선 셈이다.

더구나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 인상 폭이 지표금리인 은행채나 코픽스 상승 폭보다 큰 것은, 주요 시중은행이 가계대출 억제 차원에서 스스로 가산금리를 늘리고 우대금리를 줄이는 등의 방법으로 대출금리 수준을 더 높였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은 앞서 11일부터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를 최대 0.3%p 올렸고, 우리은행도 13일부터 같은 상품군의 금리를 최대 0.3%p 높였다. NH농협은행은 17일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의 우대금리를 최대 0.3%p 축소했다.

4%대 은행 정기예금 상품, 한달새 두 배로…최고 4,35%

지난 4월 기준금리(3.50%)조차 밑돌았던 은행들의 정기예금 금리도 대부분 최근 4%대를 회복했다.

시장금리가 뛰는 데다, 은행들로서는 지난해 하반기 연 5%대 높은 금리로 받아 놓은 정기예금들을 빼앗기지 않고 다시 유치하려면 스스로 금리를 올려야 할 입장이다. 레고랜드 사태 여파로 자금 경색이 심했던 지난 10월 이후 고금리로 힘겹게 끌어모은 정기예금의 만기가 곧 돌아오기 때문이다.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따르면 현재 19개 은행의 정기예금 상품 가운데 최고 우대금리가 4.00%를 넘는 것은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4.35%), 전북은행 'JB 123정기예금'(4.30%), DGB대구은행 'DGB주거래우대예금'(4.25%), Sh수협은행 '헤이 정기예금'(4.15%), 광주은행 '굿스타트예금'(4.13%), 제주은행 'J정기예금'(4.10%), NH농협은행 'NH올원e예금'(4.05%),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4.05%) 등 20개에 이른다.

지난달 24일 같은 포털에 공시된 4%대 정기예금 상품 수(10개)와 비교해 불과 약 한 달 사이 4% 이상 금리를 주는 시중은행 정기예금이 두 배로 늘었다.

은행 "고금리 상당기간 유지…가계대출 억제 위해 추가 인상도 검토"

은행권에서는 이런 금리 오름세가 당분간 꺾이기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오경석 신한PWM 태평로센터 팀장은 "미국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여전히 높고 현재 금리가 충분히 긴축적이지 않다며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내년 금리 인하 횟수도 두 차례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이 있기 때문에 현재의 높은 금리가 상당 기간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당분간 고금리 장기화로 금융 소비자들의 고민이 깊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도 잠재적 금리 인상 요인으로 꼽힌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다른 은행들이 가계대출 수요를 줄이기 위해 최근 대출 금리를 올렸는데, 당행도 내부적으로 신중하게 검토 중"이라면서도 "최근 시장금리 급등으로 이미 금리가 많이 뛴 상태인데, 인위적으로 금리를 추가로 더 인상할 필요가 있는지 수요 증가세를 더 지켜본 뒤 판단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용대출까지 약 2년만에 반등…한은 "주택거래 급증에 가계대출 증가폭 커질것"

하지만 이처럼 가파른 금리 상승과 추가 인상 전망과 상관없이, 최근 은행권 가계대출은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7.143%인 A 은행의 시계열을 보면, 현재 금리는 지난해 12월(7.603%) 이후 약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작년 말 당시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고금리 여파로 1년 가까이 계속 뒷걸음치던 시기였다.

하지만 현재 대출 창구의 분위기는 전혀 다르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0월 19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85조7천321억원으로 9월 말(682조3천294억원)보다 3조4천27억원이나 더 늘었다.

이달 들어 약 20일 만의 증가 규모가 이미 2021년 10월(+3조4천380억원) 이후 2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2조6천814억원(517조8천588억원→520조5천402억원) 불었고, 지난달 1조762억원 줄었던 신용대출도 이달에는 8천871억원 반등했다.

만약 이 추세대로 10월 전체 신용대출이 9월보다 늘어날 경우, 2021년 11월(+3천59억원) 이후 1년 11개월만에 첫 증가 기록이다.

윤옥자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10월 가계대출에 대해 "9월 가계대출 둔화 요인(영업일 감소·상여금 유입 등)이 해소된 데다, 통상 가을 이사 철 효과도 있고 주택거래량이 7월보다 8월에 크게 확대된 부분도 있어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9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결정회의 직후 가계부채와 관련한 질문에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부동산과 연결된 것이 많아 결국 부동산 가격 문제와 같다"며 "집값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더라도, 자기 돈으로 투자하는 게 아니고 레버리지(차입)로 투자하는 분들이 많은데, 금융(이자) 부담이 금방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경고하겠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단기적으로 부동산을 산 뒤 금방 팔아 자본 이득을 얻고 나올 수 있을지에 대한 판단도 자기가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hk999@yna.co.kr, hanjh@yna.co.kr, ss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