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개발로 원형 잃어가는 제주 밭담

이정훈 kctv 2023. 10. 22. 04: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제주밭담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지 올해로 꼭 10주년이 됩니다.

이듬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도 등재됐는데 난개발과 무관심 속에 점차 원형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안타까운 소식을 KCTV 제주방송 이정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밭들 사이로 하수도 공사가 한창입니다.

땅을 파내는 동안 중장비 주변에는 허물어진 돌담들이 널려 있습니다.

토지의 경계 역할을 했던 돌담은 한번 허물어지면 다시 세워지는 경우가 적습니다.

[이애자 / 제주시 구좌읍 : 차들이 여기 다니면서 그냥 돌도 눌러버리고 또 돌을 싣고 가는지 어떻게 하는지 돌이 많이 없어졌어요.]

빠른 농업 환경의 변화도 돌담을 위협하는 요소입니다.

자연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설 하우스의 급격한 보급은 돌담을 허물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가 됐습니다.

[문경돈 / 제주시 한림읍 : 외지 분들이 여기 와서 토지를 사들이게 되면 한 1m, 2m 되는 잣담들을 다 허물어버린다….]

고려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제주 돌담이 원래 모습을 잃어가는 사례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도로 개설이나 건축, 농지 정리까지 사람들의 편리를 위해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돌담이 사라진 자리에는 시멘트 블럭과 콘크리트가 채워졌습니다.

더욱 견고하게 만들려 시멘트로 틈새를 발라버린 돌담은 더이상 바람이 통하지 않는 바람의 길이 됐습니다.

다양한 이유로 오랜 시간 제주를 지켜온 돌담들이 사라지고 있지만 정확한 실태 파악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인공위성 사진 등을 통해 빠르게 모습을 감춰가는 제주 돌담의 흔적만을 가늠할 뿐입니다.

[고성보 / 제주대 교수 : 2001년과 2005년도에 인공위성 사진을 통해 차이를 본 거거든요. 현장 확인도 거쳐서 나온 (돌담) 평균 훼손율이 연간 2.9% 정도 되니까….]

지난 2013년 국가중요 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이듬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돼 국가를 넘어 세계 속에서도 그 아름다움과 가치를 인정받고 있지만, 난개발과 무관심 속에 제주밭담은 제 모습을 빠르게 잃어가고 있습니다.

kctv 뉴스 이정훈입니다.

YTN 이정훈 kctv (yhk55522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