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 도시에서 금기의 도시로

이승녕 2023. 10. 21. 00: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라진 홍콩
사라진 홍콩
류영하 지음
산지니

이달 초 배우 저우룬파가 부산국제영화제를 찾았다. 1980년대 그가 나온 영화 속 홍콩은 세련된 문명과 거침없는 욕망, 무엇보다 자유가 가득한 도시였다. 당대 한국에 부족했던 것들이다. 동·서양의 접점이지만, 어느 쪽도 강요하지 않고 선택의 자유가 있는 매력적인 ‘제3 공간’. 이런 홍콩의 정체성은 지금도 그대로일까. 그랬다면 저우룬파의 “한국영화는 창작의 자유가 높다”는 발언이 화제가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 책의 부제는
「우리가 ‘홍콩’이라 불렀던 것들의 시작과 끝에 대하여」

. 중국어학 교수로 30년 넘게 홍콩을 연구해 온 저자는 한적한 어촌이 아편전쟁 이후 지금까지 어떻게 정체성을 형성·변화해 왔는지 정리했다. 중국 대륙의 정치적 격변과 ‘64 천안문민주화운동’을 목격하며 1970~80년대 형성된 ‘우리가 알던’ 홍콩의 정체성이, 주권 반환 이후 희미해지다가 2020년 홍콩보안법과 함께 사라지는 과정이 흥미롭다. 저자에 따르면 이제 홍콩은 ‘홍콩의 정체성’을 논하는 것조차 금기가 된 도시다.

저자는 다만 이를 완전한 끝보다는 역사의 흐름 속에 새 홍콩이 만들어지는 과정으로 바라본다. 방대한 자료와 다양한 분석방법, 무엇보다 홍콩·홍콩인에 대한 저자의 애정이 진하게 느껴진다.

이승녕 기자 lee.francis@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