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주의역사저널] 김만덕과 나눔 정신

2023. 10. 20. 22: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 기생이 재물 풀어 백성 구제
포상 대신 금강산 유람… 덕행 실천

청명한 가을 하늘 아래서 전국에서는 지역별 특징을 담은 축제 행사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제주도의 10월을 대표하는 행사는 ‘만덕제’로, 제주 출신 조선후기 여성 CEO 김만덕이 실천했던 나눔의 정신을 기리고 있다. 여성으로 그 이름이 기록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었던 조선시대에 김만덕(金萬德:1739~1812)은 ‘조선왕조실록’에 그 이름을 당당히 올렸다.

그녀의 이름이 실록에 기록되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1796년(정조 20) ‘정조실록’에는 “제주의 기생 만덕(萬德)이 재물을 풀어서 굶주리는 백성들의 목숨을 구했다고 목사가 보고했다. 상을 주려고 하자, 만덕은 사양하면서 바다를 건너 상경해 금강산을 유람하기를 원했다. 허락해 주고 나서 연로의 고을들로 해금 양식을 지급하게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1795년 제주에는 큰 기근이 들어 굶어 죽는 이가 속출해 나라에서도 도저히 감당하지 못했다. 이에 만덕은 천금을 내어 육지에서 쌀을 사들여 굶주린 백성을 구휼한 것이다. 조선시대 변방 중의 한 곳인 제주에서 여성이 재물을 풀어 백성을 구제했다는 사실 자체도 놀라웠거니와, 이를 실록에 기록했다는 점 또한 이례적이었다.
신병주 건국대 교수·사학
그럼 만덕은 어떤 방식으로 많은 돈을 벌 수 있었을까? 만덕이 살았던 조선후기 영조, 정조시대는 변화의 시기였다. 만덕은 상업과 유통 경제의 발달이라는 시대의 흐름을 읽고 상업과 무역 전선에 뛰어들었다. 관기(官妓)의 일을 그만두고 포구에서 객주를 차리고 장사를 시작했다. 만덕은 외부에서 반입되는 쌀이나 제주에서 생산되지 않는 소금의 독점권을 확보해 이를 미역, 전복 등 제주의 해산물과 교환했다. 쌀과 소금의 시세 차익을 이용해 부를 축적해 나갔고, 결국 제주도 최고의 여성 갑부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이 보유한 재산을 백성들을 위해 기부했다는 점은 오늘날에도 그 가치를 빛나게 한다. 만덕의 선행은 조정에까지 알려졌고, 정조는 궁궐에서 만덕을 직접 만났다.

만덕의 행적은 정조의 참모 채제공의 ‘번암집’에 ‘만덕전(萬德傳)’이라는 제목으로 기록되었다. “만덕은 성이 김씨이며, 탐라의 양인 집안의 딸이다.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귀의할 바가 없었다. 기녀를 의탁해 살았는데, 점차 성장하자 관부에서는 만덕의 이름을 기안(妓案)에 올렸다. … 나이 스무 살에 그 사정을 관아에 읍소하니, 관에서 그것을 불쌍히 여겨 기안에서 제외하고 양민으로 복귀했다. … 그 재주는 재산을 늘리는 데에 뛰어났다. 때에 따라 물가의 높고 낮음에 능해, 팔거나 샀다. 수십년에 이르러 자못 명성을 쌓았다. … 을묘년(1795년)에 탐라에 큰 흉년이 들어 백성들의 시신이 침상을 이루었다. 왕이 곡식을 배에 싣고 가서 구제하기를 명했다. … 이에 만덕이 천금을 희사해 쌀을 사들였다. 육지의 여러 군현의 사공들이 때맞춰 이르자 만덕은 십분의 일을 취해 친족을 살리고, 그 나머지는 모두 관가에 수송했다. … 남녀 모두가 나와서 ‘우리를 살려준 이는 만덕이로다’라 하면서 만덕의 은혜를 칭송했다. 구제가 끝나자, 목사는 그 일을 조정에 아뢰었다.”

만덕의 기부 행위에 조정에서는 포상을 논의했지만, 쉽게 관직을 내릴 수도 없는 형편이었다. 이런 고민을 만덕은 깨끗하게 해결해 준다. “다른 소원은 없으나 오직 하나, 한양에 가서 왕이 계시는 궁궐을 우러러 보는 것과 천하 명산인 금강산 1만2천봉을 구경하는 것입니다.” 거액의 기부자답지 않은 소박한 소원이었다. 1796년 만덕이 서울에 오자 정조는 직접 만덕을 격려했고, 이듬해 봄에는 평생의 소원이던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왔다. 만덕은 이제 ‘장안의 스타’가 되어 있었다. ‘번암집’에는 “만덕의 이름이 한양에 가득해 공경대부와 선비 등 계층을 가리지 않고 모두 그녀의 얼굴을 한 번 보고자 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만덕은 제주도에 돌아온 후 15년 만인 1812년 세상을 떠났고, 그녀의 유언에 따라 무덤은 제주 성안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가운이 마루 길가에 묻혔다고 한다. 성공한 CEO로서 나눔의 미덕을 실천한 기부 천사 만덕의 행적은 우리에게 훈훈한 감동을 주고 있다. 그리고 제주도에서는 해마다 만덕상을 제정해, 또 다른 만덕을 배출해 가고 있다.

신병주 건국대 교수·사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