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상] 참전 영웅의 신발

김태훈 논설위원 2023. 10. 20. 20: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이철원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왕자 이아손의 별명은 ‘한쪽 샌들만 신은 사람’이란 뜻의 ‘모노 산달로스’다. 노파로 변신한 헤라 여신을 이아손이 업어 강을 건네주자 헤라는 고마움의 표시로 그의 신발 한 짝을 강에 흘려보냈다. 신발은 이아손이 아기였을 때 아버지가 삼촌에게 빼앗겼던 나라로 흘러갔다. 이아손은 신발이 멈춘 곳을 찾아가 자기 신분을 되찾고 왕위에 오른다. 이아손 신화는 신발을 그 주인의 분신으로 보는 데서 비롯된 이야기다.

▶군인은 신발을 오래 신는 직군이다. 2차 대전 배경의 미국 드라마 ‘더 퍼시픽’엔 상륙작전을 끝낸 해병대원이 젖은 전투화를 말리려고 잠시 벗었다가 지휘관에게 “적이 기습하면 맨발로 싸울 거냐”며 “당장 다시 신으라”고 질책당하는 장면이 나온다. 필자도 군에서 24시간 군화를 벗지 않는 훈련을 받았다.

▶군화의 시초는 로마제국 때 신은 ‘칼리가에’다. 발을 다치면 전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보통 신발과 달리 가죽을 썼다. 가죽으로 발목까지 보호하는 반(半)장화 형태의 군화를 모든 장병에게 보급한 것은 2차 대전 때 미군이 시작했다. 베트콩이 미군을 사살하거나 생포하면 군화부터 빼앗았을 만큼 인기였다. 하지만 전투력 유지에만 집중하느라 위생과 편의성을 외면한다는 지적도 많이 받았다. 참호전으로 치러졌던 1차 대전 때는 젖은 군화 속에서 발이 썩는 ‘참호족’으로 많은 군인이 목숨을 잃었다. 한국 남자들도 군화 기억은 좋지 않다. 모두 딱딱한 저질 군화로 고생했다. 민원이 수도 없이 제기됐지만 군납 업체와의 유착 때문인지 바뀌지 않았다. 2010년대 들어서야 나일론과 고어텍스 재질의 신형 전투화가 보급됐다.

▶미국에선 전몰 장병을 기릴 때도 군화를 쓴다. 2014년부터 이라크·아프가니스탄전 전몰 용사 추모식을 여는 미 노스캐롤라이나의 포트브래그란 도시는 군화 7500개에 성조기와 전몰 장병 사진을 꽂는 방식으로 희생을 기린다. 늘 전쟁 상태인 이스라엘은 군인 인식표를 두 개 쓴다. 하나는 목에 걸고 또 하나는 군화에 꽂는다. 어떤 경우든 군화는 남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6·25 당시 동상을 입거나 불편한 군화를 오래 신어 발이 변형된 참전 노병의 발에 맞는 신발을 만들어 헌정하는 ‘6·25 참전 영웅맞이 신발 증정식’이 그제 서울 현충원에서 열렸다. 3D 스캔으로 발 모양을 파악해서 만든, 세상에 하나뿐인 ‘영웅의 신발’이다. 국가보훈부 차관이 참전 노병들 앞에 무릎을 꿇고 신겨 드렸다. 헌신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함께 무릎 꿇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