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로만글라스/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2023. 10. 20.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언젠가 테헤란의 이란국립박물관을 찾았을 때 경주 황남대총의 봉수형병(鳳首形甁)과 너무나도 닮은 유리 그릇이 전시돼 있어 반가웠다.

새의 머리를 연상케 하는 표주박 모양의 아름다운 유리병으로 중국을 거치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BC 1300년 시작됐다는 이란의 유리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이런 방식의 유리 그릇을 이른바 로만글라스라고 하는데 서아시아를 점령한 로마가 유리를 전 세계로 퍼뜨리며 이런 이름이 붙었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언젠가 테헤란의 이란국립박물관을 찾았을 때 경주 황남대총의 봉수형병(鳳首形甁)과 너무나도 닮은 유리 그릇이 전시돼 있어 반가웠다. 새의 머리를 연상케 하는 표주박 모양의 아름다운 유리병으로 중국을 거치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유리잔 역시 경주 천마총에서 나온 파란색 유리잔과 같은 장인이 만들었다고 해도 믿을 만큼 닮은꼴이었다. 천마총 유리잔은 국립경주박물관 문화상품 매장에서도 복제품이 팔리고 있을 만큼 예쁘다.

테헤란에는 유리도자기박물관도 있다. 유리 문화에 대한 이란의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곳에서는 BC 1300년 시작됐다는 이란의 유리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자연 상태에서 찾을 수 있는 유리의 재료와 유리공예품에 특유의 색깔을 내는 광물질도 흥미롭다. 목걸이용 유리 구슬의 거푸집도 보였는데, 황남대총 북분 출토품과 크게 다르지 않다. 신라가 당시는 서역으로 불렀던 서아시아 지역에서 유리공예 완제품은 물론 제조 기술까지 받아들여 활용했음을 알려 준다.

유리의 기원은 확실치 않다고 한다. 하지만 고고학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BC 2300년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비롯된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유리 생산이 본격화된 것은 대롱으로 불어서 모양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되면서부터라고 한다. 이런 방식의 유리 그릇을 이른바 로만글라스라고 하는데 서아시아를 점령한 로마가 유리를 전 세계로 퍼뜨리며 이런 이름이 붙었을 것이다. 본거지 이란이 애써 사산글라스라고 부르려 하는 것도 이해가 가고도 남는다.

한반도에서는 신라는 물론 가야 지역에서도 유리가 출토된다. 최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김해 대성동 고분군과 합천 옥전 고분군, 함안 마리산 고분군이 그렇다. 학계 일각에서는 대형 범선을 형상화한 창원 마산 현동 유적의 배 모양 토기를 근거로 실크로드가 아닌 바다를 거쳐 신라보다 1세기 빨리 전래됐다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오늘 ‘가야 유리기(琉璃器) 기원, 유통 그리고 재활용-로만글라스 가야에 묻히다’를 주제로 부산에서 국제학술심포지엄을 갖는다고 한다. 손톱보다 조금 큰 마리산 출토 유리 조각 한 점이 갖는 힘이 놀랍다.

서동철 논설위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