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년째 석공… 이제야 조금 알것 같아…복원한 광화문 월대 소통 공간이 되길”

박세희 기자 2023. 10. 19. 11: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통이 어려운 시대입니다. 저도 점점 젊은이들과 대화하기가 버거워져요. 광화문 월대가 소통의 자리, 만남의 광장이 되길 기대합니다."

약 100년 만에 제 모습을 찾은 광화문 월대 복원 공사를 진두지휘한 임동조(68·사진) 경기도 무형문화재 석장(石匠·돌을 다루는 장인) 보유자는 최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복원 진두지휘한 임동조 석장
“완성모습보니 흐뭇하고 뿌듯”
연합뉴스

“소통이 어려운 시대입니다. 저도 점점 젊은이들과 대화하기가 버거워져요. 광화문 월대가 소통의 자리, 만남의 광장이 되길 기대합니다.”

약 100년 만에 제 모습을 찾은 광화문 월대 복원 공사를 진두지휘한 임동조(68·사진) 경기도 무형문화재 석장(石匠·돌을 다루는 장인) 보유자는 최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말했다. 약 30명의 석공들과 함께 난간석을 배열하고 부재들을 맞춰 월대를 복원해낸 그는 “월대 복원 공사로 지난여름 어느 때보다 더 뜨겁게 보냈다”며 “이렇게 완성된 모습을 보니 흐뭇하고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는 “구부재(기존 재료)들의 제자리 찾기 과정이 가장 어려웠다”면서 “딱 맞는 자리를 찾았을 때의 쾌감 또한 엄청났던 작업”이라고 말했다. 임 석장은 호암미술관에 보관돼 있던 서수상이 월대 끝부분에 있던 장식임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을 때도 ‘월대 장식이 맞다’는 것을 확신했다고 한다. “석조물을 많이 쌓아보고 올려본 사람만이 느끼는 직감 같은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임 석장은 앞서 광화문을 지탱하는 육축(陸築·성문을 축조하기 위해 큰 돌로 만든 구조물) 복원 작업도 맡아 했으며 경복궁 근정전 월대, 덕수궁 대한문 월대 등도 작업한 장인이다. 2006년 ‘나주 금성관’ 복원 공사 때부터 아들인 임경묵(42) 석장 이수자 겸 미성석재 대표와 함께 일하고 있다. “나의 길을 따르는 아들에게 참 고맙다”고 전한 임 석장은 석공 일을 배우려는 젊은이들이 갈수록 줄어드는 게 우려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월대 복원 공사를 할 때도 많은 시민이 ‘왜 복원을 해야 하느냐’며 불편을 호소하신 것으로 안다. 그분들께 문화재 복원에 힘쓰는 우리 장인들을 한 번 봐달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소중한 우리 유산을 지키는 데 땀 뻘뻘 흘리며 애쓰는 장인들의 노력을 알면 생각이 바뀌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가 처음 돌과 인연을 맺은 것은 1969년. 55년째 석공 일을 하고 있는 그는 “이제야 조금 석공이 뭔지, 돌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를 알 것 같다”며 “내 몸이 허락하는 한 계속 이 일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박세희 기자 saysay@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