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답 공교육’ 학생도 선생도 손절…120조 퍼붓고도 “인재 없다”
비용 쏟아붓고 생산성 낙제
인재원천 대졸 취업자 20년 뒤 반토막
대혁신 골든타임
교육 불만지수가 ‘임계점’을 넘어섰다. 공교육은 학생도, 학부모도, 선생님도 포기한 공(空)교육으로 전락했다. 최근 교권보호4법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학교의 주체인 학생, 학부모, 교사는 갈등의 주인공이 됐다. 사교육이 아예 공교육을 대체하면서 교육시장 왜곡의 주범이 된지 오래다. 대학은 자율성을 상실한채 등록금, 학생선발 규제에 묶여 수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여기에 의대광풍이 교육을 송두리째 뒤흔들며 취업시장과 국가적 인력배치 구조까지 변질시키고 있다. 기업들도 비상이다. 인재난에 신입보다 경력을 선호하면서 재교육 비용은 고스란히 취업준비생 몫이 돼버렸다.
18일 매일경제가 여론조사업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과제 대국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가장 비효율적인 분야로 사교육(39.6%)이 꼽혔고 이어 공교육(29.6%), 대학교육(18.0%) 순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로 극심한 인력·인재절벽에 처했다. 실제 매일경제와 한국경제인협회가 공동분석한 결과 현재 출산율이 유지될 경우 학령인구(6~21세)는 작년말 기준 748만명에서 2040년이면 381만명, 대학졸업자는 16만 9000명으로 뚝 떨어진다. 특히 고급 인재의 원천인 대졸취업자는 9만 5000명으로 반토막난다.
보다 효율적인 미래인재 확보가 시급한 이유다. 하지만 한국 교육은 생산성 최악인 비효율의 대명사로 전락해가고 있다. 한해 120조원 넘는 공·사교육비가 투입되지만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올해 세계인재평가에서 한국은 전체 64개국중 34위에 그쳤다.
과거 산업화시대 성장을 이끌었던 압축식 교육시스템의 잔재에서 벗어나 미래 성장동력인 인재 확보를 위한 ‘에듀노믹스’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한다. 비단 교육개혁만으로는 역부족이다. 학교 울타리를 넓혀 고용·경제·산업·지방개혁과 동행하는 파괴적인 ‘퓨처스쿨’ 대혁신이 시급하다. 당장 공교육, 사교육, 대학교육의 비효율을 걷어내는게 급선무다. 인재 창출의 발목을 잡는 직업 인센티브 체제에 대한 수술작업도 병행돼야 한다.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 “교육의 위기는 곧 국가의 위기”라며 “미래교육을 지향하기 위한 퓨처스쿨 논의에 서둘러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러니 BJ 하려고 난리지…‘별풍선’ 덕에 한달에만 34억 터졌다 - 매일경제
- “의사 형들, 그동안 꿀 빨았지”…변호사가 남긴 글 화제, 무슨 일? - 매일경제
- 손녀 말 사고, 교회 헌금하고…시민단체 ‘국고보조금’ 막 쓰다 걸렸다 - 매일경제
- 한국 30대 남자 절반이 이 질병 앓고 있다…특히 제주도 위험 - 매일경제
- “오빠, 그돈이면 당장 車 사자”…잠깐 고민하면 또 품절, ‘완판신화’ 볼보 [카슐랭] - 매일경
- “펑펑 써도 쓸 돈 남아돌아서”…35억 필요한데 130억 더 쏴준 교육청 - 매일경제
- 호화 수영장 지어놓고 6억원 적자…파도파도 나오는 공기업 방만경영 - 매일경제
- “5만원인데 50만원을, 어떡해”…잘못 보낸 돈 99억 찾아준 예보 - 매일경제
- 비행기 돈 냈는데 자리가 없다고?...알고도 당하는 ‘항공사 꼼수’ 총정리 [여프라이즈] - 매일
- “만 오천명이 부르는 응원가 들어봤어?” 켈리가 말한 한국시리즈 경험 - MK스포츠